AI 스타트업 창업자들 만난 최태원 회장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2일 대전 유성구 KAIST에서 열린 ‘미래세대와의 인공지능(AI) 토크콘서트’에 참석해 AI 스타트업 창업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한국의) 경쟁자인 중국이 인공지능(AI)도, 제조업도 우리를 앞서고 있다”며 “시간이 흐르면 우리가 쫓아가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높다”고 진단했다. 더 늦기 전에 지금이라도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2일 대전 유성구 KAIST에서 열린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 패널로 참석해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제조의 스케일도 크고 AI, 로봇에 대한 인풋(투자)도 엄청나고 엔지니어도 훨씬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으로 ‘풀링(끌어당기는 힘)’이 필요하다. 모든 기업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시스템을 만들어 경쟁력을 끌어올리지 않으면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대한상의와 KAIST는 AI 분야 창업자들과 산업계, 학계 리더들이 모여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논하기 위해 이날 자리를 마련했다. 패널 토론은 KAIST 출신의 AI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질문을 던지면 최 회장이 여기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최 회장은 AI 스타트업이 가져야 할 경쟁력으로 ‘독점력’을 꼽았다. 대표적인 AI 독점 기업으로는 미국 엔비디아를 꼽았다. 그는 “저희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줄 서서 사고 돈을 지불하는 것과 동일한 문제”라며 “독점력이 있어야 시장에 뛰어들어 내 물건을 팔 수 있는 확률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 회장은 이날 SK그룹이 지향하는 AI 시대 미래 사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칩 솔루션을 만들어낼 것”이라며 “AI 데이터센터를 어떻게 하면 가장 싸게 지을 수 있을까도 저희가 생각하는 부분”이라고 답했다. 또 “대형언어모델(LLM) 형태의 AI 솔루션을 만들고 기업 간 거래(B2B),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모델을 만들어갈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최 회장은 SK그룹의 로봇 산업과 관련된 질문이 나오자 “저희가 직접 로봇을 개발, 생산하는 것은 하지 않을 것이다. 제조 분야의 AI를 만들어내는 일에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박종민 기자 blick@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