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한국에 상호관세 26%…트럼프, 무역질서를 파괴하다

0
댓글0
한겨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워싱턴디시(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제목의 행사에서 상호관세에 대해 연설을 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일(현지시각)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관세 26%를 물리는 등 주요 무역 상대 57개국에 최대 50%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 외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는 일괄 10% 관세가 부과돼 총 100개국 이상이 이날 발표의 영향을 받게 된다. 전문가들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조치로 전세계 무역이 위축되면서 세계 경제에 광범위한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보기 : △트럼프, 아시아에 ‘관세 폭탄’ 집중 투하 △무차별 상호관세에 세계 혼돈



▶관련 기사 몰아보기 : [연재] 다시 트럼프 시대 https://www.hani.co.kr/arti/SERIES/1087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런 내용의 상호관세 방침을 발표했다. 주요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한국 26%,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7%, 영국 10% 등이다. 모든 수입품에 보편관세 10%를 매긴 뒤, ‘죄질이 나쁜’ 나라들에는 이보다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발표장에서 든 패널에는 한국은 25%라고 적혀 있었으나, 법적 효력이 있는 미국 행정명령 부속서에 따르면 한국은 26%다.



미국이 든 상호관세의 주요 근거는 ‘비관세 장벽’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국가별 무역장벽 연례보고서를 직접 흔들며 “금전적 장벽보다 비금전적 장벽이 더 나쁘다”고 말했다.



5일 0시1분(미국 동부시각. 한국시각 5일 오후 1시1분)부터 모든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10%의 관세, 9일 0시1분(미국 동부시각. 한국 9일 오후 1시1분)에는 상호관세가 발효된다.



협상 여지는 남겼다. 백악관은 “이번 조처는 무역적자와 비상호적 대우가 해소 또는 완화됐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할 때까지 계속 유지된다”며 “교역 상대국이 보복 조처를 할 경우 대통령이 관세를 인상할 수 있다. (반대로) 교역국이 비상호적인 무역 구조를 개선하면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처는 기존에 별도로 관세가 부과된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및 부품 등에는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 또 미국 내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에너지 자원과 일부 광물도 이번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사설에서 “보호무역주의로의 복귀이자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코넬대 무역정책 전문가 에스와르 프라사드는 뉴욕타임스에 “미국이 주도해온 규범 기반의 국제 무역 질서가 사실상 종말을 맞이했다”며 “미국은 규칙을 고치는 대신 무역 체제를 무너뜨리기로 했다”고 평가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날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추산한 결과, 올해부터 2028년까지 해마다 기존 전망보다 0.49%포인트가량 세계 경제성장률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는 이번 조처로 향후 3년간 약 2400조원(실질 기준)이 날아가게 됐다는 뜻이다. 센터는 “이는 미국의 관세 부과만 전제한 분석치로, 중국과 유럽 등이 보편관세에만 대응해 10% 보복관세에 나서도 성장률 하락폭은 0.8%포인트까지 확대된다”고 밝혔다.



세계 각국은 비판했다. 중국은 “국익 수호를 위해 단호한 대응 조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럽연합은 대응 조처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고, 일본도 유감이라고 발표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영향을 받을 업종과 기업에 대한 긴급 지원 대책을 범정부 차원에서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하는 데 그쳤다.



워싱턴 베이징 도쿄 베를린/김원철 이정연 홍석재 장예지 특파원, 조계완 선임기자 wonchul@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매일경제“바퀴벌레 출동!”…미얀마 지진 현장에 10마리 파견한 싱가포르
  • 헤럴드경제북한 김정은 친형, 뜬금없이 등장한 ‘이곳’…의중 뭐길래
  • 조선일보이틀간 12% 내린 나스닥, 4% 급락 출발 후 ‘롤러코스터’
  • 머니투데이"엑스포 이후 한일 관계 크게 발전…오사카·간사이 박람회로 협력 강화 기대"
  • 연합뉴스트럼프, 中에 50% 추가관세 위협…"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종합)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