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이낙연 前총리 "탄핵정국…선동 아닌 설득과 자제 필요"

1
댓글0
이데일리 유튜브 '신율의 이슈메이커' 출연
헌재 탄핵 선고 후 혼란 우려하며 자제 당부
승복 메시지 없는 윤석열·이재명에 "아쉽다"
양극단 정치 완화할 대안으로 다당제 제시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정치 지도자라면 지지자를 선동할 것이 아니라 설득하고 자제시켜야 한다”며 “폭력은 어떤 경우에도 용납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미리 ‘승복하겠다’는 메시지를 냈어야 했다”며 아쉬워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이낙연 전 총리


이 전 총리는 3일 방송된 이데일리 유튜브 프로그램 ‘신율의 이슈메이커’에 출연해 “탄핵 인용이든 기각이든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여론이 절반 가까이 된다”며 “정치적 판단과는 별개로 지도자들이 나서서 혼란을 최소화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지자들이 집회나 시위를 벌이더라도 최소한 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정치 지도자의 책임”이라며 “지금처럼 정치가 국민 분열을 흡수하기는커녕 오히려 증폭시키는 상황에서는 충돌을 막는 것이 지도자의 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탄핵 심판을 앞두고 사회 전반에 긴장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승복 선언’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전 총리는 “윤 대통령이 미리 ‘결과에 승복하겠다’고 밝혔다면, 국민들도 좀 더 차분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 전 총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발언에 대한 평가도 했다. 승복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이 대표는 “윤 대통령이 승복해야 한다”고 받아 쳤다. 이에 대해 이 전 총리는 “형식적으로는 윤 대통령이 승복할 당사자라는 말이 맞을 수 있다”면서도 “그 말이 나온 배경에는 불신과 긴장이 깔려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정치 지도자의 한 마디는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지금은 자극보다는 안정이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 전 총리는 현재의 양당 중심 정치 구조가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당 지도부가 지지층만을 겨냥해 강경한 메시지를 반복할수록 국민은 더 극단으로 나뉘게 되기 때문에, 정치 지도자라면 이런 분열을 가라앉히는 데 앞장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대안으로 다당제 도입을 제시했다. 보수와 진보 진영 모두에서 온건파와 강경파가 각각 독립된 정치 세력으로 분화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이렇게 재편된 정당 구조에서야 국민의 감정을 더 잘 대변하고 갈등을 조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왕적 대통령제를 완화하기 위한 권력 분산 방안도 언급했다. 총리를 국회가 선출하고 일정한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은 충분히 검토할 만하다는게 그의 생각이다. 이는 내각책임제로 가기 전, 현실적인 중간 단계라는 설명이다.

이 전 총리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서도 비판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과거에는 해임 건의안을 통해 정치적 입장을 표명했지만, 지금은 탄핵 소추로 직무 정지까지 가는 일이 보편화됐다”며 “탄핵에 대한 절제가 없으면 정치적 안정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서울신문불붙는 차기 대통령실 이전론… 세종 낙점 땐 ‘수도 이전’ 가시화
  • 프레시안윤석열 "그럴 리 없어! 당장 방송 막아!"…총선 대패 소식 들은 윤석열의 반응
  • TV조선"차라리 한덕수가 적임자" 국민의힘서 '제3후보론' 꿈틀…'反이재명 빅텐트'도 거론
  • YTN"윤석열 늪에 빠진 국민의힘" 尹 사저정치 본격화, 국민의힘 대선 승리 방법은
  • JTBC[JTBC 여론조사] '가상 3자 대결' 결과는…이재명 45% vs 홍준표 24% vs 이준석 7%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