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일본 진보 성향의 도쿄신문이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발표한 새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검정 결과에 대해 '정부의 통일 견해에 근거한 기술로 개정된 사례'라는 의견을 밝혔다. 사진은 일본 문부과학성이 승인한 초등학교 교과서의 모습. 2025.04.03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김다연 인턴기자 = 일본의 진보 성향 도쿄신문이 문부과학성에서 발표한 새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에 대해 '정부의 통일 견해에 근거한 기술로 개정된 사례'라며 다양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 신문은 3일 사설에서 일본에 '연행'된 조선인이라는 표현에서 연행을 '동원'으로 바꾸고, 독도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일본 고유의 영토'로 표기하도록 한 문부과학성 검정 결과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2014년 아베 정권 당시 지리·역사와 공공(구 공민) 교과서 등에 정부 견해에 따른 기술을 하도록 검정 기준이 개정됐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해당 검정 기준에 대해 도쿄신문은 "정부는 자국의 인식에 근거한 역사교육을 철저히 하고 싶어하나, 역사에 대한 인식이 국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더해 "국제화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한 정부나 정당의 가치관을 밀어붙일 것이 아닌, 다양한 가치관을 인정하고 깊이 사고하는 자세를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일본 문부과학성은 3월25일 교과서 검정 조사심의회 총회를 열어 일본 고등학교 1~2학년생이 2026년부터 사용할 교과서 심사 결과를 확정했다.
문부성은 검정을 통해 독도와 센카쿠열도에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설명을 덧붙였으며, 강제 징용 문제에 대해서도 '연행'이라는 표현을 '동원'으로 수정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 내에서는 해당 검정 결과가 일본의 강제동원을 정당화하고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일방적으로 주장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이 제기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