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정서희 |
최근 인공지능(AI) 챗봇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잦은 AI 챗봇 업데이트로 얼리 어답터부터 챗GPT의 ‘지브리 풍’ 사진 인기로 호기심이 생긴 일반 대중까지, 다양한 소비층이 AI 챗봇 시장에 유입됐다고 분석하고 있다.
3일 앱 통계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코파일럿, 에이닷, 뤼튼, 퍼플렉시티, 클로드 등 챗GPT를 제외한 AI 챗봇 상위 6개 앱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693만638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639만8563명) 대비 8.4% 증가한 수치로 한 달 만에 MAU가 54만명 이상 늘어났다.
전문가들은 AI 챗봇 이용자 수가 늘어난 데는 다양한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최근 AI 기업들이 자사 서비스를 거의 매주 업데이트하고 있는데 비즈니스 분야나 AI 얼리 어답터 사이에서는 이런 흐름을 따라가느라 전반적으로 트래픽이 증가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AI 챗봇 선두주자인 챗GPT의 인기가 치솟으며 AI 챗봇 자체에 일반 대중의 호기심이 높아진 점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오픈AI는 지난달 말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인 ‘챗GPT-4o 이미지 생성’을 출시했는데 폭발적 인기를 끌고 있다. 이 기능은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그려줘’라는 간단한 명령만으로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들 사이에선 유명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를 만들어 소셜미디어(SNS)에 공유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다.
이에 국내 챗GPT 이용자 수가 크게 증가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챗GPT의 MAU는 509만965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한 달 새 120만명 가까이 이용자 수가 늘어난 것이다. 챗GPT를 계기로 AI 챗봇을 접한 일반 대중이 다른 AI 챗봇에도 호기심을 가지고 접하면서 AI 대중화가 촉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 교수는 “AI가 만들어준 사진을 SNS에 올리는 일종의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이 형성되며 AI 챗봇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커졌다”며 “다양한 AI 챗봇을 내려받고 구독한 후 비교하는 이용자들도 크게 늘었는데, 이런 복합적 요인이 작용돼 AI 챗봇의 트래픽이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수정 기자(revis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