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협상책 마련에 고심...신속 대응팀을 만들어 진화 나서
태국 총리 "외교적 소통 나설 것" 밝혀
인도네시아, 관세 기자간담회 돌연 취소...대응에 고심
말레이시아도 "미국 당국과 협의할 것" 밝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를 열어 상호 관세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
【하노이(베트남)=김준석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관세 폭탄'을 떨어뜨리자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동남아 각국 정부는 피해 최소화에 분주한 모양새다.
관세 46%가 부과될 예정인 베트남은 3일 미국의 이같은 조치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정부 입장을 밝혔다.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는 이날 오전 각 부처와 부문 회의를 주재하며 "미국의 관세 부과는 두 나라 사이의 좋은 관계, 양국 국민의 바람, 그리고 최근 베트남의 노력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팜 총리는 부이 타인 썬 외교부 장관 겸 부총리를 반장으로 하는 신속 대응팀을 꾸릴 것을 요청했고, 호 득 폭 부총리에게 현지 대형 수출 기업을 포함한 기업들의 의견 수렴을 지시했다. 팜 총리는 아울러 "현재 상황은 무역 경쟁이 치열하고 복잡하며 예측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도 "2025년 8% 이상의 국내총생산(GDP) 성장 목표는 변함없다"고 강조했다.
36%의 관세 부가가 예정된 태국도 비상이 걸렸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이날 공식 성명을 통해 "태국 정부는 미국이 여러 교역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필요성과 그들의 '상호적 무역 및 관세 정책(Reciprocal Trade and Tariffs)' 추진 배경을 이해하고 있다"면서도 "미국 측이 단기적인 이익이 아닌 장기적인 전략적 목표를 고려해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패통탄 총리는 이어 "기업들은 리스크 분산을 위해 새로운 수출 시장을 모색할 것을 권고한다"면서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서 태국이 공정한 파트너로 대우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 외교적 소통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32%의 관세가 예정된 인도네시아는 오전 기자간담회를 경제조정장관 주재로 관세 대응 기자회견을 예고했으나, 이내 돌연 취소해 궁금증을 자아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미국 관세 정책은 다양한 상품에 대한 매우 기술적이어서 각 부처·기관 수준에서 포괄적인 논의가 좀 더 필요하다"고 이유를 밝혔다.
말레이시아 투자·무역 및 산업부(MITI) 이번 관세 인상에 따라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미국 당국과 적극적으로 협의하여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의 정신을 유지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고 추가 협상에 나설 것임을 밝혔다.
한편, 동남아 증시도 트럼프발 관세폭탄의 영향으로 요동치고 있다. 이날 오전 호찌민 증시에서 베트남 대표 주가지수인 VNI는 장 중 한때 5.8% 폭락했다. 이후 낙폭을 줄여 현지시간 오전 10시 전날보다 4.5% 떨어진 1250대에서 등락하고 있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