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윤석열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더라도 2차 계엄은 없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습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오늘(3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복귀해 2차 계엄을 요구할 경우 국방부 입장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습니다.
전 대변인은 "그런 상황(12·3 비상계엄)이 발생했던 초기에 차관께서 말씀하셨던 것 같은데, 그 입장은 그대로 유효하다"고 말했습니다.
취재진이 '2차 계엄 요구는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과 동일하게 봐도 되나'라고 묻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은 지난해 12월 6일 긴급브리핑을 통해 일각에서 '2차 계엄 정황' 주장이 나온 것을 두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만약 계엄 발령에 관한 요구가 있더라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이를 절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오늘(3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복귀해 2차 계엄을 요구할 경우 국방부 입장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습니다.
전 대변인은 "그런 상황(12·3 비상계엄)이 발생했던 초기에 차관께서 말씀하셨던 것 같은데, 그 입장은 그대로 유효하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은 지난해 12월 6일 긴급브리핑을 통해 일각에서 '2차 계엄 정황' 주장이 나온 것을 두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만약 계엄 발령에 관한 요구가 있더라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이를 절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대행은 지난해 12월 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군 통수권자라고 하더라도 이번처럼 국민 앞에 무력을 쓰도록 하는 지시는 수용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유혜은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