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존슨 미국 하원의장과 JD 밴스 부통령,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행정명령 서명식 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을 듣고 있다. 2025.04.03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
(서울=뉴스1) 최종일 선임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미국의 모든 무역 상대국에 10% 기본관세를, 미국에 대규모 무역 적자를 유발하는 57개국엔 최대 50%의 개별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번 관세 발표 직후 외국과의 경쟁으로부터 새로운 보호를 받게 되는 업계는 환영의 입장을 보였지만 주류 경제학자들과 기업의 초기 반응은 암울했다고 전했다.
인도와 에콰도르 등 국가와의 경쟁으로 타격을 입은 멕시코만 새우 업계는 관세가 "미국의 일자리를 보호할 것"이라고 환영했다. 철강 업계에서도 관세는 정부 보조금을 받는 외국 경쟁업체와 경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입장을 냈다.
하지만 미국 신발 유통업체 및 소매업체의 사장 겸 최고 경영자인 매트 프리스트는 뉴욕타임스(NYT)에 "이것은 미국 가정에 치명적인 일"이라며 "이러한 광범위한 관세는 비용을 증가시키고 제품 품질을 저하하며 소비자 신뢰를 약화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전국소매업연맹도 성명에서 관세가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 더 많은 불안과 불확실성을 안겨줄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미제조업자협회는 대통령의 관세에 대한 세부 사항과 정확한 의미를 아직 분석 중이라는 입장을 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 규모가 예상보다 훨씬 크다며 경제 침체가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무디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크 잔디는 USA투데이에 "이는 정말 큰 관세이며, 완전히 시행된다면 경제를 도랑(ditch)으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세는 소비자에겐 물가 상승을, 상품을 수입하는 기업에는 이익 약화를 초래하는 '세금 인상'과 같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을 중심으로 강한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하킴 제프리스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는 기자회견을 열고 "공화당이 미국 경제를 실시간으로 붕괴시키고 있다"며 "오늘은 '해방의 날'이 이 나라 '미국 경기 침체의 날'이다. 트럼프 관세가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론 와이든 상원의원(민주·오리건)은 NYT에 "트럼프의 근시안적인 관세 계획은 미국 제조업을 재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건 가족들이 구매하는 거의 모든 것에 대한 세금인데, 트럼프는 억만장자 친구들에겐 세금 감면 혜택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화당 내에선 대체로 트럼프의 방침을 지지한다는 입장이지만 일부는 파장을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존 케네디 루이지애나 상원의원은 "전문가들은 항상 옳다고 생각하지만 그들은 항상 거의 틀렸다"며 "아무도 모른다. 아마도 곧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랜드 폴 공화당 상원의원(켄터키)은 "관세는 끔찍한 실수"라며 "관세는 효과가 없고,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다수 미국 언론도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미국 정치 전문지 폴리티코는 "트럼프 관세로 미국은 1930년대 이후 가장 중대한 보호무역 조치를 취했다"며 "당시 대공황을 겪고 있던 미국 경제 상황은 더욱 악화했다"고 지적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설에서 트럼프의 관세 발표로 과거의 보호무역 시대를 향해 큰 발을 내디뎠다면서 "각국이 관세 인하를 위해 미국과 협상을 시도하면 피해는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대응이 광범위한 보복이라면 세계 무역은 위축되고 경기 침체 혹은 그보다 너 나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또 "미국 소비자와 기업은 분명 더 큰 비용을 떠안아야 할 것"이라며 "자동차 가격은 수천 달러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트럼프는 소비자들의 부(wealth)를 기업 그리고 관세 장벽 뒤에서 보호받는 노동자들에게 이전하려 한다"고 꼬집었다.
allday3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