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가중 우려
시장 모니터링 강화, 안정 조치 준비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표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뉴시스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금융 시장에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의 상호 관세 조치로 시장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가중할 경우 시장이 더욱 혼란에 빠질 수 있어서다. 금융당국은 가용한 모든 시장 안정 조치를 즉각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등 경계 모드에 들어간 상태다.
3일 금융감독원은 이세훈 수석부원장 주재로 주요 임원 및 부서장이 참석하여 금융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4일에도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감원장 주재로 비상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시장 안정을 위한 메시지를 낼 예정이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내 시장 관련 부서는 증시, 환율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비상 대기 중이다.
과거 두 차례의 탄핵 심판 때를 보면 결과에 따라 주식시장 향방이 엇갈렸다. 헌재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기각한 2004년 5월 14일 코스피 지수는 2.74% 떨어진 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이 가결된 2017년 3월 10일 코스피는 0.3% 올랐다. 다만 노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단기간 시장에 충격파가 있었지만,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난 이후 안정을 찾았다. 결국 탄핵 정국이 단기 이벤트였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탄핵 심판 선고 당일 예기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도 대비하고 있다. 광화문, 여의도 일대에서 대규모 집회가 예상되는 만큼 외부 회의를 최소화하고 청사 보안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안하늘 기자 ahn708@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