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아이폰은 인도, 아이패드는 베트남···애플도 관세 직격탄

0
댓글0
트럼프 1기 중국 관세 부과 후 공급망 다변화
연간 비용 85억달러 추가 예상에 주가 급락
경향신문

AP연합뉴스


제품 공급망을 중국에서 베트남, 인도 등으로 확장해온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로 난관에 부딪혔다.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베트남에 46%, 인도에 26%의 관세를 부과해 이들 국가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애플 사업 전반에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공급망을 다양화해온 애플의 사업이 시험대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8년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이후 애플은 수년간 주요 제품 생산기지를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해왔다. 아이패드와 에어팟은 베트남으로, 아이폰은 인도로 옮기기 시작했다.

인도의 아이폰 공장은 직원 교육과 인프라 구축에 5년이 걸렸다. 이 공장에서 연간 아이폰 판매량 2억대 중 약 25%를 생산할 전망이다.

베트남의 아이패드, 맥북 공장도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내 애플 제품 공장이 폐쇄된 뒤 더 주목받았다.

하지만 베트남과 인도에도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가 발표되면서 애플의 공급망 다변화 전략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장벽’에 또다시 부딪혔다.

애플은 전 세계 판매 아이폰의 약 90%를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는데, 이번에 중국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의 관세율은 총 54%로 올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총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바 있다.

애플 전체 연간 매출(4천억 달러)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비중은 약 4분의 3에 달한다.

이 제품들에 관세가 추가로 부과되면 애플은 이 비용을 자체 감당하거나 제품값을 인상해 고객에게 부담을 전가해야 한다. 어느 쪽이든 애플의 사업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중국에 대한 관세가 예정대로 부과되면 애플의 연간 비용은 85억 달러(약 12조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내년 애플 영업이익의 주당 0.52달러, 총 78억5천만 달러(약 11조원) 감소로 이어진다. 수익의 7%가 사라진다는 의미다.

이날 상호관세 발표 후 전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7% 급락했다.

이영경 기자 samemind@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1트럼프 "中에 50% 추가 관세…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종합)
  • 서울신문(영상) ‘은행잎’ 닮은 中 전투기, 코앞에서 비행…근접 모습 최초 공개 [포착]
  • SBS웃으며 마라톤 결승선 통과한 할아버지…알고 보니 반전
  • 이데일리"상어에 물리고 성폭행 잇따라"…여행 주의보 내린 '지상낙원'
  • 중앙일보[단독] 美 USTR "50개국이 관세협상 타진…트럼프 전략 이미 결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