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트럼프 관세폭탄에 각국 '부글'…"친구가 깡패처럼 행동"(종합)

0
댓글1
EU "정당하지도 합법적이지도 않아"…단호하고 단결된 대응 촉구
"보복이냐 협상이냐"…전 세계 대응책 마련에 분주
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행정명령 서명식 중 하워드 루트닉 상무 장관과 상호 관세율 차트를 들고 설명을 하고 있다. 2025.04.03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이창규 권영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예고한 대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의 방아쇠를 당겼다. 각국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를 비판하면서도 신중하게 대응책 마련에 나선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율를 공개했다. 모든 국가들에게 10% 기본관세를 부과하면서 주요 국가들에는 최대 50%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했다.

구체적으로 △중국 3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한국 25% 등으로 정해졌다. 아프리카 레소토에는 최대 관세율인 50%가 부과됐다.

미국과 무역협정(USMCA)을 맺고 있는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USMCA에서 제외된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가 적용(에너지 10%)된다. 기본 관세는 5일부터 부과되고 개별국 관세는 9일부터 부과될 예정이다.

EU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실망스러운 반응을 보이며 국익을 보호하기 위한 대응에 나설 뜻을 시사했다.

베른트 랑에 유럽의회 국제무역위원장은 "이번 관세 조치는 정당하지도, 합법적이지도, 비례적이지도 않은 행위"이라고 비판했다.

유럽의회 최대 정당인 유럽국민당(EPP)의 국제무역 대변인인 요르겐 와르본은 "친구가 깡패처럼 행동할 때 침착함을 유지하기란 어렵다"며 "이 조치는 수 세기 동안 유지되어 온 대서양 관계에 타격을 주는 일로 우리는 무역 역사상 중대한 전환점에 있으며 지금이야말로 유럽연합이 단결된 방식으로 대응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유럽은 스스로를 방어할 것이며 신속하고 비례적으로 단합된 모습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린란드를 두고 미국과 갈등을 겪고 있는 덴마크의 라스 뢰케 라스무센 외무장관은 "벽을 높이는 대신 장벽을 무너뜨려야 한다"며 "유럽은 단결할 것이고, 강력하고 미례적인 답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친분을 내세웠던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도 미국의 관세를 잘못된 조치라며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날을 세웠다.

그는 "무역전쟁은 서방을 약화시키고 다른 이들에게 이익이 될 것이므로 미국과 합의를 이루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우리는 이탈리아와 경제의 이익을 위해 다른 유럽 파트너들과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는 "우정은 파트너십을 의미한다"며 "파트너십은 진정한 상호관세를 의미한다. 적절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스1

앤서니 앨버니즈 호주 총리가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 대해 “나쁜 결정이지만 보복 대응은 하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다. 2025.04.03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가장 낮은 10%의 관세율이 적용된 영국은 차분하면서 실용적인 접근을 시사했다.

조너선 레이놀즈 영국 상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미국은 우리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이므로, 우리의 접근 방식은 차분함을 유지하고 협상을 이행하는 것이다"이라며 "오늘 발표된 관세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가 있으며, 주저하지 않고 행동에 나설 것"이라며 "우리가 취할 추가 조치의 영향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여 우리는 영국 기업들과 계속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앤서니 앨버니즈 호주 총리는 호주는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에 미국도 관세를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며 "친구가 할 행동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호주 국민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관세가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 관계를 훼손하고 양국 간 오랜 우정의 근간이 되어 온 공동의 가치에 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호주 국민들이 양국 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에도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앨버니즈 총리는 미국에 대해 보복관세를 부과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토드 클레이 뉴질랜드 통상장관도 미국이 발표한 관세율이 잘못됐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보복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호주와 뉴질랜드엔 10%의 상호관세가 적용됐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트럼프는 양국 관계의 여러 중요한 요소를 보존했지만 펜타닐 관세와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며 "우리는 이러한 관세에 맞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며 우리 노동자들을 보호하고 G7(주요 7개국)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맞대응 방식이 아니라 포괄적 대응 프로그램을 발표할 것"이라며 "어떤 상황에서도 경제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이번 관세가 국가 간 무역 활동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불행한 일이지만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앞으로의 정책 전개를 면밀히 관찰해 경제적 영향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yellowapoll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세계일보“푸틴, 휴전 거부한 채 공격”… 우크라, 美 대응 촉구
  • 아주경제트럼프 "中 보복관세 철회안하면 50% 추가"…관세율 100% 넘을 수도
  • 동아일보日 “관세 국난사태”… 도요타, ‘일본내 年 300만대 생산’ 차질 위기
  • 아시아경제트럼프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차단 결정 재검토"
  • 조선일보자신만만했던 트럼프… 휴전은커녕 다시 울리는 포성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