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원화가치 하락에 1분기 외국인 투자 64.1억弗…전년比 9.2%↓

0
댓글0
도착금액 35.1억 달러 전년대비 26.4%↑
중국發 투자액 3.3억弗로 전년比 75%↓
그린필드 투자신고 46.6억弗 1Q 최대치
뉴시스

[서울=뉴시스]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가 64억10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대비 9.2% 감소한 수치다. 도착금액은 35억1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6.4% 늘었다. 신고기준 금액은 역대 2위, 도착 기준은 4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2기 관세 정책 등 국내외 정치적 상황에 따른 투자 관망세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원화가치 하락에 따른 미화 투자 금액 감소로 외국인 투자금액이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신고금액)는 64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1분기 70억5000만 달러대비 9.2% 줄었다. 역대 1분기 신고금액을 놓고 보면 2위에 달하는 금액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 신고가 23억3000만 달러로 24.5% 감소했고 서비스 투자 신고는 35억6000만 달러로 7.4% 줄어들었다. 다만, 대형 투자 자금이 유입으로 서비스 도착금액은 전년대비 68.7% 증가한 27억8000만 달러를 올렸다.
뉴시스

[세종=뉴시스]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신고금액)는 64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1분기 70억5000만 달러대비 9.2% 줄었다. 역대 1분기 신고금액을 놓고 보면 2위에 달하는 금액이다.(사진=산업부 자료 캡쳐)



제조업 중에선 화공 6억3000만 달러(85.4%), 금속·금속가공 3억5600만 달러(1만7708.1%), 운송용 기계 3억1400달러(195.6%) 등의 투자가 증가했고 전기·전자 5억29만 달러(-63.6%), 기계장비·의료정밀 1억7400만 달러(-67.7%), 의약 1억500만 달러(-77.7%) 등에서 투자가 줄었다.

서비스업에선 숙박·음식점(3억9500만 달러, 7678.7%), 도·소매(유통)(3억9500만 달러, 29.0%), 연구개발·전문·과학기술(1억3100만 달러, 232.0%) 등에서 투자가 늘었고 금융·보험(21억6300만 달러, -1.2%), 부동산(3억3300만 달러, -18.6%), 정보통신(8500만 달러, -86.7%) 등에서 투자가 줄었다.

제조업은 1분기 118건의 투자를 받았는데 이는 전년대비 5.6% 감소한 수치다. 서비스업과 기타업종의 경우 각각 715건, 31건의 투자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대비 1.3%, 82.4% 증가한 수치다.
뉴시스

[세종=뉴시스]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신고금액)는 64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1분기 70억5000만 달러대비 9.2% 줄었다. 역대 1분기 신고금액을 놓고 보면 2위에 달하는 금액이다.(사진=산업부 자료 캡쳐)



국가별로는 유럽연합(EU)와 미국의 투자가 전년동기대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EU는 1분기 전년대비 163.6% 증가한 14억6000만 달러의 투자액을 보였고 미국은 15.0% 늘어난 8억3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일본의 경우 지난해 1분기 대비 8.6% 증가한 12억3000만 달러를 우리나라에 투자했다. 투자금액 별 국가별 비중은 EU 23.3%, 일본 19.2%, 미국 12.9% 등이다.

중국은 전년동기대비 75.0% 감소한 3억3000만 달러, 중화권은 78.2% 감소한 4억5000만 달러, 기타국가는 7.1% 감소한 24억100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투자 건수는 미국 115건(42.0%), EU 68건(4.6%), 일본 63건(21.2%) , 중화권 234건(-7.1%), 기타국가 384건(-3.5%) 등으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생산·고용 기여 효과가 큰 그린필드 투자 신고가 46억6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0.7% 증가했고 인수합병(M&A) 투자신고는 17억4000만 달러로 45.4% 줄었다. 1분기 M&A 도착 실적은 19억1000만 달러로 31.9% 늘었다.

자금별로는 신규투자가 31억7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0.4% 감소했고 증액투자는 23억2000만 달러로 20.2% 줄었다. 신규투자와 증액투자를 합친 투자금액 비중은 전체의 85.7% 수준이다. 장기차관은 9억2000만 달러로 450.6% 늘었다.

제조업에 대한 신규투자는 14억7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3.0% 증가했지만 서비스업은 15억3000만 달러로 39.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증액투자는 제조업이 6억9000만 달러로 56.5% 감소한 반면 서비스업은 15억3000만 달러로 25.8% 증가했다.
뉴시스

[세종=뉴시스]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신고금액)는 64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1분기 70억5000만 달러대비 9.2% 줄었다. 역대 1분기 신고금액을 놓고 보면 2위에 달하는 금액이다.(사진=산업부 자료 캡쳐)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각각 35억1000만 달러, 9억6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8%, 57.5% 감소했다. 수도권 지역의 제조업 투자는 5억 달러로 전년대비 28.2% 줄었지만 서비스업은 29억6000만 달러로 3.0% 증가했다.

비수도권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투자는 각각 4억9000만 달러, 1억2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7.5%, 81.5% 감소한 것으로 집계주가됐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투자 건수는 548건(-11.0%), 148건(-5.1%) 등을 보였다.

산업부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 속에서 1분기 실적만으로는 올 한해 외국인직접투자 상황을 예단하기 어렵다"며 "외투 인센티브를 대폭 강화해 투자유치 모멘텀을 확대하고,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외국인투자 환경개선, 전략적 아웃리치 전개 등 외국인투자 확대를 위해 연말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뉴시스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ppkjm@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이데일리‘셀 아메리카’에 환율 넉 달 만에 1420원대…“약달러 지속”
  • 매일경제이랬다가 저랬다가 왔다갔다...전세계 가지고 장난하는 듯한 ‘트럼프 관세’
  • 비즈워치지속된 한화 승계 논란…"한국 사회 지배구조 문제"
  • 더팩트백화점 업계, 최악의 불황에도 '명품' 집중하는 까닭
  • 머니투데이관세 폭락 중 역대 2번째 순매수…이 와중에 4일간 2배반 오른 잭팟 종목[서학픽]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