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尹 탄핵선고 D-1' 또 서버 터질라…분주한 네이버·카카오

0
댓글0
머니투데이

12.3 비상계엄 당시 온라인에 퍼진 루머/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카카오톡에 계엄 얘기하지 마세요. 검열당해요", "네이버·다음 카페 다 안 돼요. 통신 끊었나봐요! ", "뉴스 댓글 창도 막혔어요"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당시 양대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곤욕을 치렀다. 누구도 예상 못 한 비상계엄 선언에 상황을 파악하려는 이들이 동시에 네이버와 카카오톡, 다음에 접속하면서 서버가 폭주해 일부 서비스에서 접속 오류가 생긴 탓이다. 비상계엄으로 통신이 끊겼다, 카카오톡은 검열당하고 있다는 온갖 루머까지 퍼졌다. 물론, 모두 사실이 아니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NAVER)와 카카오는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일을 앞두고 비상대기하고 있다. 혹시 모를 혼란에 대비해서다.

카카오는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대응 체계를 수립했다. 먼저 트래픽 변동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아울러 서버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서버 다운을 막을 수 있는 기술적인 조치 등을 단행, 비상 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다.

뉴스를 보려는 이용자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포털 다음은 탄핵과 관련해 주요 기사 및 특보, 선고 절차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슈 포커스' 페이지를 새로 오픈했다. 이슈 포커스 페이지에서는 탄핵 심판 관련 기사만 모아 제공하고, 한쪽에 그간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는 '탄핵 심판 타임라인'도 마련돼 있다. 해당 페이지에서 오는 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될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도 실시간 뉴스 라이브로 제공할 예정이다.

머니투데이

네이버카페 접속 오류 안내문/사진=네이버 안내문 캡처



카페, 뉴스 댓글 창 등에서 접속 오류가 발생해 한바탕 홍역을 치렀던 네이버도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인력을 확충, 선고 당일 트래픽 변동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련 시스템을 사전 점검하고 나섰다.

네이버 관계자는 "12.3 계엄은 예기치 못한 상황이어서 트래픽이 폭증했지만, 당시에도 카페·뉴스를 제외한 검색이나 다른 앱 기능은 정상 작동했다"며 "이번 탄핵 선고는 예고된 것이라 덜하겠지만 모니터링 등을 강화해 실시간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연 기자 nicksy@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플래텀[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샤오미 자율주행 인명사고, 화웨이는 최고 성장률 기록
  • 매일경제"우와 선명하네"… 스무살 추억의 캐릭터, 4K로 바꿔주는 AI
  • 전자신문카메라로 옷 보여주면 코디까지…삼성 갤럭시S25, '비주얼 AI' 업데이트
  • 뉴스1"내 얼굴 AI 학습에?"…'지브리풍 프로필' 유행 따라온 불안감
  • 조선비즈韓 시장은 中 스마트폰 무덤?… 샤오미, 통신사 유통망 확보 난항에 알뜰폰 시장 ‘기웃’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