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이동기지국 늘리고 트래픽 관리 철저…통신 장애 대비에 만전

0
댓글0
尹 선고일 대규모 집회 예상…이통3사 실시간 대응 체계 운용
네이버·카카오 트래픽 모니터링 강화
뉴스1

헌법재판소는 오는 4일 오전 11시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진행한다. 사진은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의 모습. 2025.4.2/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서울=뉴스1) 나연준 손엄지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정보통신기술(ICT) 업계는 통신 장애 등 혹시 모를 비상 상황을 막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3일 ICT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와 네이버(035420), 카카오(035720)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관련 대규모 인파가 운집할 것에 대비해 네트워크 증설, 이동 기지국 추가 설치, 트래픽 확보 등 조치에 나섰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이뤄지는 4일 헌법재판소 인근 및 도심에서는 다양한 탄핵 찬반 관련 집회가 열릴 예정이다. 집회 관련해 경찰에 신고된 인원은 13만명이다.

이동통신 3사는 대규모 집회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비 중이다.

SK텔레콤(017670)은 집회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기존 장비 사전 최적화 및 추가 개통, 이동기지국 배치 등을 통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KT(030200)는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광화문, 여의도, 부산역 등 전국 주요 장소에 통신 기지국 운용 현황을 점검하고 네트워크 증설 작업을 진행했다.

또한 네트워크 전문가를 주요 집회 현장 및 전국 주요 통신 센터에 배치해 실시간 대응 체계를 운용한다.

LG유플러스(032640)는 지난해 연말부터 광화문 일대, 안국역 인근 등 인파가 몰린 곳에 이동기지국, 임시중계기, 발전 장비 등을 설치하고 상주 인력을 배치하는 등 특이 상황에 대비해 왔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카페, 포털뉴스 등 이용자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 위주로 트래픽 관리에 나선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트래픽 변동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카카오는 서버 등 인프라 확충을 통해 비상 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법무부, 소방청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한다.

과기정통부는 사이버 위협 관련해 24시간 집중 점검을 실시하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해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yjr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중앙일보‘군살 뺀 인공지능’ 선보인 네이버, AI 주도권 잡기 승부수
  • 동아일보내 유심 털렸나? SKT 해킹에 복제폰 공포…“보호서비스 가입해야 안전”
  • 뉴시스징글징글한 스미싱…10개중 3개가 '이것' 사칭
  • 머니투데이"사람이 먼저" 교황, 생전 AI 윤리성 강조
  • 경향신문챗GPT+크롬=?···오픈AI “구글 크롬 인수 의향 있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