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
조조의 막료들이 원소의 뒤를 쫓았다. 원소는 문서와 귀중품을 모두 버린 채 기병 800명만을 이끌고 달아났다. 조조는 더 이상 추격하지 않고 원소가 버리고 간 물건들을 수습했다.
동양의 춘추 논리에서는 복수를 부덕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부모 죽인 원수를 죽이는 것은 살인에서 면죄되며 칭송을 받았다. 복수심이 삶의 에너지가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군주제에서 공화정으로 바뀐 지금의 상황은 다르다.
그럼에도 지금 한국의 정치는 복수극이다. 학회의 어느 자리에서 김학준(金學俊) 교수가 “지금 한국의 정치제도는 대통령 격노(激怒) 중심제”라고 주장하기에 내가 “지금 한국의 정치제도는 복수(復讐) 중심제가 아닐까?”라고 반문한 적이 있다. 지금이 그렇다. 내가 살아 보니 복수심은 나를 다치게 하더라. 한국 정치도 이제 조금은 더 너그러워질 수 없을까? 잡범들은 빼고….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