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경남 곳곳서 교도관·검찰 사칭 사기 잇따라…경찰 수사 착수(종합)

0
댓글0
방화복·방검복 등 대리구매 결재 유도…검찰 수사관 사칭 중국인 검거되기도
연합뉴스

경남 진주경찰서 전경
[진주경찰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밀양·진주=연합뉴스) 김동민 박정헌 기자 = 최근 경남 진주·밀양·김해시에서 교도소 교도관이나 검찰 수사관 등을 사칭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범행이 잇따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2일 진주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진주에서 포크레인 대여업을 하는 A씨는 자신을 진주교도소 교도관이라고 소개한 남성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이 남성은 최근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에 쓰일 포크레인을 문의하면서 방화복도 대리구매 해주면 포크레인 대여비도 함께 지급하겠다고 제안했다.

A씨는 이 말을 믿고 해당 남성으로부터 건네받은 계좌에 현금 2억원을 입금했으나 알고 보니 거짓말이었다.

지난달 25일에는 진주 한 조명업체에 진주교도소 교도관이라는 남성이 전화해 LED 전등 구매를 미끼로 수백만원의 방검복 대리구매 결재를 유도하다가 미수에 그친 사례도 있었다.

이와 비슷한 범행은 밀양과 김해에서도 발생했다.

밀양구치소와 밀양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김해지역 생수 판매업체가, 지난달 25일에는 밀양지역 장판업체가 밀양구치소 소속 교도관을 사칭한 남성으로부터 각각 '재난지역 생수 지원', '교정시설 수용동 장판 교체 공사' 물품 납품을 요청하는 전화를 받았다.

이 남성은 물품 납품을 요청하면서 위조된 공문서를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행히 밀양과 김해지역 사칭 사기는 업체 대표가 돈을 지불하지 않아 금전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경찰은 이 사건들을 보이스피싱 범죄로 분류해 수사를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달 18일에는 수사기관을 사칭해 현금 1억원을 받아 챙긴 중국 국적의 50대 B씨가 검거되기도 했다.

B씨는 지난달 7일 진주에 사는 피해자 C씨에게 전화해 '검찰인데 선생님 계좌가 범죄에 이용됐으니 법원에 제출할 증거가 필요하다. 계좌 해킹 확인을 위해 돈을 인출해서 달라'고 속였다.

이후 B씨는 진주 시내에서 C씨로부터 현금 1억원을 받아 달아났다.

경찰은 폐쇄회로(CC)TV 분석 등으로 서울 한 모텔에 투숙 중이던 B씨를 붙잡았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기관 등을 사칭해 금전을 요구하는 전화는 바로 끊어야 한다"며 "이와 같은 범죄에 속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밀양구치소 관계자도 "밀양구치소를 포함한 모든 교정기관에서는 절대 민간 업체에 대리구매, 대리납부를 요청하는 일이 없다"며 "의심스러운 상황이 발생하면 밀양구치소로 연락해달라"고 당부했다.

imag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SBS111일간의 탄핵심판 법정…흐름 바꾼 핵심 증언들
  • YTN헌재 '국회의원 끌어내라' 지시도 인정...위헌 판단
  • 뉴스핌[尹 파면] 헌재, 역대 두번째 대통령 파면...법조계 "사법부 진짜 권위 세워야"
  • 뉴스1[전문] 헌법재판소,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문⑤
  • 서울신문‘4명 사망’ 8년 전과 달랐다…“부상 0명” 극단적 폭력사태 없이 해산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