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소리가 남편 장준화에 대해 언급했다. 사진|넷플릭스 |
배우 문소리가 ‘폭싹 속았수다’ 출연 소감을 밝혔다.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에서 태어난 요망진 반항아 애순과 팔불출 무쇠 관식의 모험 가득한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작품이다. 제주에서 함께 나고 자랐지만 하나부터 열까지 다른 두 사람의 순수했던 10대 시절과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었던 청년 시절, 인생이 던진 숙제와 맞부딪히며 세월을 겪어 낸 중장년 시절까지 파란만장했던 일생을 다채롭게 그린다.
‘동백꽃 필 무렵’의 임상춘 작가와 ‘미생’ 김원석 감독이 의기투합했다. 아이유가 어린 애순을, 문소리가 어른 애순을 연기했다. 박보검이 어린 관식을, 박해준이 어른 관식을 맡아 호흡을 맞췄다. 아이유는 애순 딸 금명 역을 맡아 1인 2역을 소화했다.
문소리는 남편 장준환과 양관식 캐릭터에 대해 “닮은 구석이 어느 정도 있다”며 “박해준과 저희 남편 리듬이 비슷하다. 성격은 다른데 말도 천천히 하고 그냥 스윽 와서 한마디 하는 그런 주파수가 비슷하더라. 박해준도 영화 ‘화이’로 저희 남편과 작업해서 잘 안다. 관식이가 애순이 최고라고 하고 자식보다 애순이라고 해주는데 그런 면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들 관식이는 판타지라고 하지만, 제가 애순이를 연기하니까 남편에게서 관식이 같은 면을 찾으려고 한 것도 있을 것”이라며 “남편은 그렇게 판타지 같은 사람은 아니다. 관식이는 아니다. 이분도 노력하고 개선해야 한다. 그런데 따뜻하고 다정하고 한결 같은 부분이 있다”고 이야기했다.
문소리를 작품을 본 장준환 감독의 반응을 묻자 “정말 눈물이 없는 분인데 영화 ‘1987’을 만들고 나서 관객들 반응을 보고 눈물을 보이길래 갱년기냐고 놀린 적이 있는데, 오랜만에 남편의 눈물을 봤다. 굉장히 좋아했다. 작가님이 정말 대단한 것 같다고 이야기 하더라”고 말했다.
또 그는 “남편이 ‘폭싹 속았수다’의 해외 반응을 찾아서 저에게 보내주는데 남미 분들도 보고 울더라. 미국 쪽에서도 반응이 좋다고 하더라. 장르물이 아닌 휴먼 드라마가 이렇게 인기를 얻은 게 전례가 없는데 신기하다고 했다. 어떻게 보면 특별한 이야기가 아니어서 그런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문소리는 명대사로 ‘수만 날이 다 봄이었더라’를 꼽으며 “나도 나이 들어서 저런 말을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으면 좋겠다. 저런 마음을 가진 사람이었으면 좋겠다고 싶다”고 털어놨다.
명장면에 대해서는 “박해준과 누워서 도란도란하던 신이 기억에 남는다. 제가 지금까지 경험한 바로는 저는 4번째 테이크부터는 눈물이 잘 안 난다. 그래서 리허설 때 안 울려고 굉장히 노력을 한다. 리허설 때 한번 울면 2번 밖에 기회가 없는 거니까. 리허설 때도 잘 안 울려고 하는 징크스 같은 게 있는데 그 신은 컷을 해도 그렇게 눈물이 났다. 이불이 젖도록 울었던 장면이라서 기억에 남는다”고 회상했다.
이어 선배 나문희와 함께한 신을 언급하며 “아무도 못 알아보다가 제가 가니까 한규 딸 왔다고 알아보는 장면이다. 나문희 선생님이랑 연기하는 게 처음이었는데 리허설 시작하자마자 너무 눈물이 나더라. 진짜 할머니가 해줬던 일들이 한꺼번에 밀려와서 리허설 때 눈물이 쏟아졌다. 무릎에 누워서 우는 신이었다. 그 신이 딱 끝나고 나서 선생님이 ‘왜 사람들이 문소리 문소리하는 줄 알겠다’고 해서 금메달 딴 기분이었다. 선생님에게 감사한 마음”이라고 고백했다.
문소리는 ‘폭싹 속았수다’ 이전에도 넷플릭스 시리즈 ‘퀸메이커’ ‘지옥2’ 등에도 출연하며 열일 행보를 펼쳤다.
그는 넷플릭스의 장녀 같다는 말에 “영화 제작 편수가 줄어들면서 넷플릭스가 없었다면 생계를 걱정해야 할 수도 있었을 거다. 과거 멀티플렉스가 등장했을 때도 큰 변화였는데 이제는 OTT 플랫폼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맞춰 함께 가고 있다는 게 다행스럽다”며 “넷플릭스의 맏딸이 되고 싶다”고 능청스럽게게 말했다.
[양소영 스타투데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