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겸 가수 아이유. 넷플릭스 제공 |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말미에서 노년의 오애순은 자신의 삶을 엮어 시집을 낸다. 전복을 따러 바다에 뛰어든 엄마에 대한 걱정(‘개점복’)부터 크림빵을 돌린 같은 반 친구에게 급장을 뺏긴 일화(‘크림빵 급장’), 인생의 동반자인 관식을 향한 마음(‘오로지 당신께’)까지 모두 시에 담았다. 가난 탓에 시인의 꿈을 접고 어린 자식을 떠나보내는 큰 슬픔까지 겪었지만, 가족과의 따뜻한 기억을 아랫목 삼아 삶을 웃으며 살아간다. 드라마 주인공다운 굴곡진 삶이지만 평범한 시청자들이 조금씩 자신이나 엄마와 닮아 있는 구석을 찾아냈던 인물이기도 하다.
각각 애순의 청년 시절과 노년 시절을 연기한 아이유, 문소리가 말하는 애순도 이런 평가와 크게 다르지 않다. 2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아이유, 문소리와 만나 애순이라는 인물에 대해 묻자 이들은 자신의 가족에 대한 기억을 끄집어냈다.
“저희 엄마는 애순이같이 소녀스러우면서도 되게 강인한 분이세요. 많은 일을 겪었지만 세상을 아름답게 보려고 노력하는 분이거든요. (애순이를 연기하는 데 있어서) 어떤 부분은 엄마가 영향을 줬다고 생각해요.” 애순이와 딸 금명이를 1인2역으로 연기한 아이유는 애순이의 모습에서 엄마를, 금명이의 모습에서 자신을 봤다고 말했다. “저도 어릴 때는 금명이 같은 구석이 있었어요. 틱틱거리고 제 성공에 가세가 달려있다고 부담을 느끼기도 했어요. 지금의 입장에서 금명이를 보면 ‘금명아, 너 맘 잘 아는데 그래도 나중에 후회할 거야’라고 하고 싶죠.”
문소리도 애순을 연기하며 엄마와의 일화를 떠올렸다. “(애순이 딸의 결혼을 앞두고 상견례하는 장면에서) 엄마 생각을 많이 했어요. 저도 남동생이 있고 연달아서 상견례를 했는데, 남동생의 상견례 자리에서랑 제 상견례 자리에서 엄마의 태도가 너무 비교되더라고요. 그때는 ‘제가 많이 못가르쳤습니다’ 하는 엄마가 이해 안 됐는데, 작품을 찍으면서 이해하게 됐죠. 애순이도 딸이 귀하다고 말하면서도 염소처럼 목소리가 떨리잖아요.”
배우 문소리. 넷플릭스 제공 |
‘폭싹 속았수다’는 광례(염혜란), 애순, 금명으로 이어지는 3대에 걸친 모녀들의 서사다. 모성을 다룬 과거 작품들처럼 엄마라는 이름으로 하는 희생을 그저 미화하기 보다는, 여성으로서 겪는 가족과 사회의 차별을 조명하며 딸은 자신보다 더 나은 삶을 살길 바라는 마음에 집중한다. “너는 푸지게 살라”는 광례의 대사나 “(딸이) 상을 차리는 사람 말고 상을 다 엎고 그러면 좋겠다”는 애순의 대사도 이런 주제 의식을 보여준다. 문소리도 애순을 연기하며 그런 엄마의 마음을 떠올렸다. “저희 엄마가 애순이보다 한살 어리거든요. 친구 엄마들은 제 엄마보다 조금 나이가 많으시고요. 그중에 많은 분들이 딸한테 ‘너는 나처럼 집안일 하고 살지 말고 네 일을 가져라’ ‘꼭 결혼을 해야 하는 거 아니다’ 하는 말을 많이 했어요. ‘상을 엎는 사람이 됐으면 좋겠다’던 애순이처럼 우리에게 그런 말을 하며 키우셨구나 싶었죠.”
아이유는 “금명에게 애순은 첫 세상이자 첫사랑이고, 애순에게 금명은 물심양면 원하는 걸 다 하도록 지원해주고 싶은 딸”이라고 말했다. 그는 드라마를 찍으며 든 생각을 바탕으로 여성들의 연대를 다룬 ‘쉬’(Shh..)라는 곡을 냈다. ‘쉬’(Shh..)는 ‘뒷짐을 진채/따라갈래/그녀의 긴 발자국…그 존재감에/입을 다무네/영원히 날 앞서는’이라는 가사를 담고 있다. “‘쉬’(Shh..)라는 곡은 ‘폭싹 속았수다’로 인해 끌어올려진 테마에요. 드라마를 찍으며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면서 동시에 나에게 영향을 끼쳤던, 내 삶을 이룬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를 지금 하고 싶다는 확신이 들었죠.”
‘폭싹 속았수다’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
‘폭싹 속았수다’를 본 이들은 모녀의 이야기만큼이나 애순과 관식(박보검/박해준)의 사랑 이야기에 깊게 몰입했다. 관식의 순애보가 판타지라면서도 주변에서 관식이와 닮은 인물을 찾기도 했다. 아이유는 자신의 아버지가 관식이와 닮았냐는 질문에 고개를 저었다. “저희 아버지는 거리가 머세요. 굳이 따지자면 은명이에 가깝죠. 아빠도 ‘나는 저렇게 대단한 남편이자 아빠는 아니’라고 인정을 하시거든요.” 문소리는 남편인 장준환 감독은 관식이와 다르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공통점도 있다고 말했다. “관식이가 자식보다도 애순이, 애순이 해주잖아요. 그런 면은 좀 비슷해요.”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에 대해 묻자 아이유는 애순의 할머니인 춘옥(나문희)이 세상을 떠나는 장면을 이야기했다. “대본을 읽을 때도, 찍을 때도 많이 울었고 결과물을 볼 때도 눈물이 났는데요. 가장 많이 울었던 장면은 춘옥 할머니가 돌아가시며 ‘소풍이었지. 내 새끼들 다 만나고 가는 소풍이었지’ 하는 장면이었어요.” 문소리는 “수만 날이 봄이었더라” 하는 애순의 마지막 대사가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그 대사에서 할머니 생각도 많이 했어요. 저희 할머니는 돌아가셨는데, (생전에) 비 오는 날 하염없이 창밖을 바라보고 계시더라고요. 그러면서 ‘비는 주룩주룩 오시는데 님은 영영 안 오시고’ 라는 말을 하셨어요. ‘오실 님이 있어?’라고 물었더니 ‘니만 님 있나, 내도 님 있다’ 이러시더라고요.”
‘폭싹 속았수다’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
‘폭싹 속았수다’가 많은 이들의 ‘인생 드라마’가 된 것처럼 두 배우에게도 자랑할 만한 작품으로 남았다. “촬영하는 1년 동안 보람이 컸어요. 찍고 돌아오면 지쳐 잠들 때가 많았지만 아쉽거나 힘들다는 마음으로 잠든 날은 별로 없었어요. ‘내일도 오늘처럼 또박또박 잘하자’ 했죠.” 아이유는 이렇게 말하며 자신에 대한 사랑도 생겼다고 덧붙였다. “스스로 지키고자 했던 약속들을 지키면서 자기애가 생겼어요. 드라마에 ‘애순이 한번 크게 놀았다’ 하는 대사가 있거든요. 스스로에게 ‘지은이 한번 크게 놀았다’는 말을 해주고 싶어요.”
문소리는 두고두고 꺼내볼 작품이라고 이야기했다. “제가 나온 작품을 잘 안 보거든요. ‘폭싹 속았수다’는 자주, 많이 찾아보는 작품이 될 것 같아요. 딸 시집가면 보고 싶을 것 같고 딸 유학가면 또 보고 싶고요.”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