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신영대 의원 |
(전주=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 2026년 개항하는 새만금 신항의 운영 방식을 두고 전북 군산시와 김제시가 연일 충돌하는 가운데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파열음'을 내고 있다.
지자체, 지방의회의 갈등이 국회의원들 간 알력 다툼으로 번지는 모양새여서 새만금 신항을 둘러싼 감정의 골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의원(군산·김제·부안갑)은 2일 입장문을 내고 "새만금 신항은 군산항과 하나다"라고 못 박았다.
그의 주장처럼 군산시는 국가무역항인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을 통합 관리하는 원포트(One-Port)를, 김제시는 새만금 신항을 신규 항만으로 지정해 군산항과 분리하는 투포트(Two-Port)를 주장하며 맞서고 있다.
신 의원은 "다른 지역의 국가무역항 역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원포트로 운영하고 있다"며 "부산 신항과 진해 신항의 행정관할이 경남임에도 부산항의 부속항만으로 지정돼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원포트의 합리성과 당위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양수산부가 무역항 지정 심의 과정에서 각 지자체와 전북도의 의견을 청취한 것은 당연한 행정 절차"라며 "전북도는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립적인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쳤다"고 옹호했다.
전북도는 자체 구성한 '새만금 신항 무역항 지정 자문위원회'의 회의 결과를 최근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에 출석해 밝힌 바 있으며 자문위는 원포트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 의원은 "이 문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전북 발전을 위해 신속히 해결해야 한다"며 "새만금 무역항 지정 문제가 마무리돼 지자체들이 통합의 길로 나아갈 수 있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발언하는 민주당 이원택 의원 |
앞서 이원택 의원(군산·김제·부안을 의원)은 전날 전북도의회 기자간담회를 통해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을 분리 운영하는 투포트를 주장하면서 전북도를 겨냥했다.
그는 "전남은 국가무역항이 3개, 경상도는 4개, 충남은 3개"라며 "(전북에) 국가무역항이 1개 있는 게 좋겠느냐, 2개 있는 게 좋겠느냐. 전북도는 전북 발전의 입장에서 바라봐야 하는데, 저는 지역 발전의 역사 속에서 전북도가 이를 퇴행시키는 오점을 남겼다고 본다"고 비판했다.
do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