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미얀마 강진 비극 어디까지…인명피해 갈수록 느는데 군정은 ‘발목’

0
댓글0
사망자 3000명 육박·부상자 4500명 넘어
반군 공습 지속·지역 차별 지원 등 논란
한 달 휴전 제안도 거절
태국도 33층 빌딩 붕괴 등 피해 막심
중국 업체 부실자재 사용 의혹


이투데이

규모 7.7 미얀마 강진 직격탄을 맞은 만달레이에서 2일(현지시간) 중국과 벨라루스 구조팀이 지진으로 무너지고 기울어진 건물 앞에서 인명 수색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한 세기 만의 최악으로 평가받는 지진이 지난달 28일 만달레이를 강타하고 나서 아직도 많은 주민이 주택 붕괴와 추가 지진 두려움 등으로 야외에서 자는 등 고통받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AFP연합뉴스


지난주 미얀마에서 발생한 한 세기 만의 최악의 지진인 규모 7.7 강진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갈수록 늘고 있다. 수습에 나서야 할 군사정부가 반군 공습에 치중하면서 시민들의 고통은 가중하는 모양새다.

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군정을 이끄는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TV 연설에서 현재까지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2719명을 기록했으며 3000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부상자는 4521명, 실종자는 441명으로 집계됐다. 흘라잉 사령관은 “실종자 대부분은 사망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들이 살아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진원지와 가까운 만달레이와 사가잉에선 생존자들이 거리에서 잠을 자는 등 지원이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물과 식량, 의약품이 부족한 데다 내달에는 몬순(계절풍) 영향에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이런 탓에 지난주 군정은 6일까지 일주일간 6개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당시 흘라잉 사령관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고자 하는 모든 조직과 국가에 공개적으로 초대장을 발송했다”고 말했다. 4년간의 내전으로 나라 밖과 사실상 단절했던 미얀마 군정이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CNN방송은 평가했다.

이투데이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최고사령관이 2018년 7월 19일 순교자의 날 71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양곤/AFP연합뉴스


그러나 군정이 지진 피해 복구나 인명 구조에 관련해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군이 지진 피해 수습을 위한 휴전을 선언했지만 이를 무시한 채 공습을 지속하고 있고 피해 지역을 차별적으로 지원한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이날도 군정을 상대하는 핵심 반군 중 하나인 ‘형제동맹’이 한 달간 휴전을 선언했지만, 군정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휴전을 빌미로 재무장할 시간을 벌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흘라잉 사령관은 수도 네피도에서 열린 모금 행사에서 “일부 무장 세력이 지금 당장은 적극적으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들은 모여서 훈련을 하고 있다”며 “이는 공격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우린 필요한 방어 작전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투데이

패통탄 친나왓(오른쪽) 태국 총리가 2일(현지시간) 지난주 미얀마 지진에 따른 건물 붕괴로 실종된 근로자 가족들을 찾아 위로하고 있다. 방콕/AP연합뉴스


이번 지진으로 태국에서도 공사 중이던 33층 빌딩이 무너지고 20명이 숨지는 등 피해가 막심하다. 특히 태국에서 유일하게 붕괴한 빌딩에 부실자재가 사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해당 공사를 맡은 중국 업체가 당국의 수사를 받게 됐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2일 브리핑에서 “빌딩 붕괴는 인명 피해는 물론 태국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라며 “어디서 실수가 발생했는지 조사해야 할 것이다. 해당 업체가 진행 중인 다른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볼 것을 관련 부처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투데이/고대영 기자 ( kodae0@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아시아투데이[단독] '기업회생' 뮬라웨어, 3개월 만에 온라인 사업 재개
  • 뉴스타파[다큐 뉴스타파]대통령 윤석열 파면, 내란의 시간들
  • 매일경제관세 맞불지른 中 … 美군수기업 16곳 제재·희토류 수출 금지
  • 아이뉴스24윤석열 탄핵⋯주택시장은 관망 가능성
  • 더스쿠프대선 테마주 또 다시 꿈틀… 尹 파면 후 지표들 [오늘의 증시]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