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북한군, 쿠르스크서 사상자 5000명 넘어... 이 중 3분의 1 전사"

0
댓글0
영국 국방정보국 분석
"활동은 쿠르스크에 국한"
한국일보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쿠르스크주에서 생포한 북한군 저격수(왼쪽)와 소총수의 모습. 현재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모처에서 치료받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엑스 캡처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사상자가 5,000명이 넘었다는 영국 국방 당국의 분석이 나왔다. 우리 군 당국이 발표한 4,000명보다 많은 규모로 이 가운데 3분의 1은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1일 외교안보 매체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따르면 영국 국방정보국은 지난달 28일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3월 기준, 러시아 쿠르스크에서 공격 작전에 따른 북한군 사상자는 5,000명 이상이고 이 중 3분의 1이 전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27일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 1만1,000여 명 가운데 약 4,000명이 다치거나 사망했으며 올해 1~2월에 3,000명 이상이 추가 파병된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힌 바 있다.

사상자 규모가 초기 파병 인원의 절반에 달할 정도로 큰 것은 북한군이 쿠르스크 전장에서 ‘총알받이’로 돌격 작전을 도맡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러시아 서남부 접경지인 쿠르스크는 지난해 8월만 해도 우크라이나군이 기습 공격을 통해 1,300㎢를 장악할 정도로 러시아군이 열세였던 지역이다. 그러나 불과 2, 3개월 후 북한군이 실전 배치되면서 러시아는 빼앗겼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는 등 전세가 역전됐다. 북한군 파병이 러시아의 반격에 상당한 도움을 제공했다는 의미다.

다만 이 과정에서 북한군이 대규모 사상자를 낸 것과 관련해 이 매체는 “북한군은 훈련이 잘 된 전사들이지만 드론이 지배하는 현대전에는 준비가 잘 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영국 군 당국은 북한군의 활동이 여전히 쿠르스크 지역에 국한됐다고 평가했다. 접경지에서 우크라이나 본토로까지 진격할 경우, 서방의 반발은 이전과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질 수밖에 없다. 그만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치적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정승임 기자 choni@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SBS[영상] 유명세에 미친 동물원? "우리가 좁아서 살찐 것" 해명하면서 덧붙인 말
  • 파이낸셜뉴스美 트럼프, 머스크와 곧 결별? "언젠가는 떠나야"
  • 경향신문중국 “관세 협상은 허위 정보”…트럼프 발언 선 그었지만 신중하게 주시
  • YTN"교황과 마지막 인사를"...이틀째 조문 행렬
  • 아시아경제비행기 승객들 손 들고 뭐하나 봤더니…"천장이 떨어졌어요"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