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기후 위기 대응 '식량 위기' 부를 수도…KAIST “농경지, 12.8% 줄어들 우려”

0
댓글0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1.5도 내로 제한하겠다는 '파리 협정' 목표 달성에 전 세계 협력이 필요한 가운데, 이를 위한 기후정책이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식량 위기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전해원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교수와 페이차오 가오 베이징사범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1.5도 목표 달성의 세계 농경지, 식량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글로벌 기후변화 분석 모델(GCAM)을 활용, 5㎢ 단위로 2100년까지 세계 토지 변화를 예측해 정밀 분석한 결과 전 세계 농경지가 12.8%가량 줄어들 것으로 봤다.

전자신문

시나리오별 2100년 전 세계 토지이용 체계 전망. 중밀도 농경지 39.6%가 고밀도 산림으로, 11.8%가 중밀도 산림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탄소 감축을 위한 산림 확대가 농경지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산화탄소(CO₂)와 같은 온실가스 감축 및 흡수원 증가를 위해 정책적으로 '자연 기반 솔루션(NBS)'인 숲에 의존하게 되고, 과거 숲을 개간해 만든 농경지를 다시 숲으로 되돌리는 경향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남미는 농경지가 24%나 감소하는 등, 전체 농경지 감소 81%가 개발도상국에 몰릴 것으로 분석했다. 예컨대 브라질, 인도네시아와 같은 개발도상국 기후가 숲 조성에 최적화 돼 이런 현상이 집중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런 경향은 식량 수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식량 안보 위기로 이어진다. 주요 식량 수출국의 수출 능력이 12.6% 줄어드는데, 식량 생산 대국인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농산물 수출 능력이 각각 10%, 25%, 4%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해원 교수는 “전 세계적 탈탄소화 전략을 세울 때 여러 분야 지속가능성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며 “온실가스 감축에만 집중한 나머지 지구생태계 지속가능성이라는 더 큰 맥락을 보지 못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개발도상국은 농경지가 줄어들고 수입 의존도는 높아지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어, 탄소중립을 이루면서도 식량 안보를 지키는 국제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AIST 연구진은 앞으로 식량 위기 문제까지 포함한 지속 가능성을 두루 고려해 연구를 지속할 방침이다.

이번 연구는 KAIST와 중국 베이징사범대, 북경대, 미국 메릴랜드대 연구진이 공동 수행했다. 결과는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에 3월 24일자 게재됐고 4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노컷뉴스"GPU, 돈 있어도 살까 말깐데"…촉박한 AI 힘 싣기
  • 뉴시스"뭔가 달라졌다 했더니" 카카오맵, 한달 만에 이용자 10% '껑충'
  • 비즈워치바이낸스서 상폐된 김치코인 국내선 360% 폭등
  • 전자신문춘천시, 디지털트윈으로 도시문제 해결…풍물·중앙시장 실내공간 3D 모델 구축
  • 디지털데일리[반차장보고서] 메모리 왕좌 차지한 SK하이닉스…中 CXMT 불량에 K-반도체 '반사이익' 장기화?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