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LG유플러스, 보이스피싱 막으러 경찰과 고객 집 직접 갔다

0
댓글0
보이스피싱 조직이 몰래 설치한 악성 앱 때문에 전화, 문자 탈취돼
큰 금액 송금 직전 피해 막아…LG유플러스"'악성 앱 의심 경보' 서비스 제공할 계획"
노컷뉴스

최근 빈발하는 카드 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수법에 대응하기 위한 LG유플러스와 서울경찰청의 공조 체계 로드맵.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2일 서울경찰청과 함께 악성 앱으로 인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우려되는 고객을 직접 방문해 금전 피해를 막았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운영하는 악성 앱 제어 서버를 포착하기 위해 자체 고객피해방지분석시스템을 가동해 실시간 탐지를 진행하고 있고, 이를 전달받은 경찰은 금융보안원 등과 검증·분석을 거쳐 피해가 예상되는 시민을 방문하고 있다.

악성 앱이 설치되면, 스마트폰 내 전화·문자 등의 기능이 '가로채기' 당하기 때문에 경찰이 직접 피해자를 만나는 것이다.

실제 LG유플러스는 지난 2월 말 서울경찰청과 함께 서울 마포구의 한 악성 앱 설치자의 거주지를 방문했다.

해당 고객은 카드 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조직이 몰래 설치한 악성 앱 때문에 모든 전화와 문자가 탈취되고 있었고, 112와 1301(검찰) 등 어디로 전화를 걸어도 수사기관을 사칭한 범죄 조직이 받는 탓에 오히려 경찰과 LG유플러스 직원을 보이스피싱 조직원으로 오해하기도 했다.

LG유플러스와 경찰은 고객이 큰 금액을 송금하기 직전 함께 경찰서로 이동해 위험 상황을 인지시키고, 악성 앱을 삭제해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LG유플러스는 업계 최초로 이러한 현장 방문에 시범 동행해 마포구, 서대문구 등에서 악성 앱을 검출·삭제하고, 고객의 피해를 막는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악성 앱 설치자들은 최근 빈발하는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의 표적이었다.

신청한 적 없는 카드가 배송될 것이란 안내를 받고 당황할 때, 보이스피싱 조직은 휴대전화에 문제가 생긴 것 같다며 피해자에게 직접 '원격 제어 앱'을 설치시키고 악성 앱을 심고 피해자들에게 112, 1301(검찰), 1332(금융감독원) 등에 직접 신고할 것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고객이 어디로 신고해도 전화는 범죄 조직이 가로채 개인정보 유출, 금전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를 토대로 보이스피싱 조직이 쉽게 탈취할 수 없는 방법으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악성 앱 의심 경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경찰청 등의 협조로 지난해 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에 업계 최초로 적용된 보이스피싱 탐지 시나리오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경찰과의 공조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은 "서울경찰청과의 공조를 통해 새로운 범죄 수법을 접하고 대비책을 마련할 기회를 얻게 됐다"며 "보이스피싱 상황을 알리는 체계를 고도화해 고객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심무송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 피싱범죄수사계장은 "경찰로부터 악성 앱 설치 사실을 안내받고도 경찰을 보이스피싱 조직원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의심된다면 가까운 경찰서나 지구대를 직접 방문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특히, 어떤 경우에도 경찰이나 검찰이 금전을 요구하는 일은 없다는 점을 기억해달라"고 당부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노컷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이데일리尹 파면에 검색량 증가한 대선주자는 누구?
  • 전자신문“광전자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앞당긴다” DGIST, 물에 의한 열화 현상 비밀 규명.
  • 머니투데이"세계 첫 합성생물학 육성법 기대…기초연구는 더 늘려야"
  • 이투데이윤석열 '파면'에 구글 검색량 20만 건 돌파 [尹 탄핵 인용]
  • IT동아[생성 AI 길라잡이] GPT-4o 이미지 생성은 왜 새삼스레 주목받는가?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