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현지 온라인상에 가드레일 충돌 후 폭발 사고로 차량이 전소한 모습의 사진이 올라왔다. /웨이보 |
중국 고속도로에서 샤오미 전기차가 가드레일에 충돌한 뒤 전소돼 탑승자 3명이 숨졌다.
1일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오후 11시쯤 동부 안후이성의 한 고속도로에서 샤오미 전기차 SU7 모델이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3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웨이보 등 중국 소셜미디어에는 사고 직후 영상이 확산하기도 했다. 영상에는 가드레일 쪽에 정차된 차량에서 불길과 연기가 치솟는 모습이 담겼다.
샤오미는 “사고 직후 전담 대응팀을 현장으로 급파했고, 경찰 지도 아래 조사에 적극 협조 중”이라고 했다. 이어 “전날에도 차량 주행 데이터 및 시스템 작동 정보를 경찰에 제출했다”며 “앞으로도 조사에 철저히 임하고,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사건 처리에 임할 것”이라고 했다.
전기차가 가드레일에 충돌한 뒤 문이 잠겨 탑승자들이 탈출하지 못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자신을 탑승자 가족이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제 아이와 두 명, 총 3명이 함께 공무원 시험을 보러 가던 중 사고를 당했다”며 “차량이 가드레일에 충돌한 뒤 문이 잠겼고, 차량에 불이 붙어 차에 탄 세 사람이 불에 탔다”고 했다. 그러면서 “샤오미는 도대체 왜 이런 미완성 기술의 차량을 출시해 사람을 해치느냐”고 했다.
차량에서 불길이 치솟고 있다. /웨이보 |
이와 관련해 샤오미 고객센터는 비상 해제 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샤오미 SU7 모델 사용자 설명서 ‘차량 내부 개폐 방법’ 부분에 “내부 도어 잠금 해제 버튼이 작동하지 않거나, 긴급 상황에서 문을 열어야 할 경우, 문 안쪽의 기계식 비상 손잡이를 당겨서 수동으로 열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다만 고객센터 측은 ‘차량 판매 시 이런 수동 개폐 방법을 소비자에게 안내하느냐’는 매체 질문에는 “그 부분은 잘 모르겠다”며 “현재까지 이 문제와 관련된 민원 접수는 없었다”고 했다.
한편 SU7은 샤오미가 2021년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하고 3년 만인 지난해 3월 출시한 첫 모델이다. 포르쉐 타이칸을 닮은 디자인에 샤오미의 스마트 환경 기술을 적용한 게 특징이다. 배터리는 중국 전기차 배터리 1위 업체 닝더스다이(CATL)와 종합 기술 회사 비야디(BYD)에서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미는 지난달 수퍼카급 전기차 ‘SU7 울트라’ 예약 판매도 시작했다.
[박선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