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트럼프 관세 시행 코앞…가상자산 시장 또 흔들리나

0
댓글0
아시아투데이

/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김민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 시행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전문가들은 위험 자산인 암호화폐 시장의 불확실성 및 변동성이 극대화될 가능성이 커졌으며 투자 심리 역시 위축될 것이라 내다봤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일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상호관세는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동등한 관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트럼프 정부는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서 수입되는 물품에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뒤 모든 수입 알루미늄, 철강 제품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지난 26일에는 자동차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또 한 번 트럼프발 국제 무역 전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요 가상자산 역시 혼조세를 보일 전망이다. 가상자산은 대표적인 위험 자산이기 때문에 통상 글로벌 경제나 무역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된다. 에프엑스스트리트에 따르면 전날 암호화폐 시장에서 3억2700만달러 이상의 청산이 발생했다.

현재 비트코인을 포함한 주요 가상자산 대부분이 횡보세를 보이고 있다. 1일 미국 가상화폐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8만2919달러로 여전히 8만2000달러대에서 횡보 중이다. 이더리움은 전날보다 소폭 상승한 1839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엑스알피(XRP)는 전날보다 0.2% 하락한 2.09달러를 기록 중이다. 솔라나 역시 전날보다 0.19% 하락한 125.7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진 것도 가상자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 연준은 지난해 세 차례나 금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최근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며 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통상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질수록 상승세를 보이는데, 금리 인하가 늦춰질 경우 가상자산 역시 하락장으로 돌아설 수 있다.

퀸 톰슨 가상자산 헤지펀드 렉거 캐피털 설립자는 "현재 가상자산 시장은 대규모 청산과 폭락 등 변동성이 큰 상황이다"라며 "미국 정부효율성부서의 인력 감축, 관세 등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향후 6~9개월 동안은 미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이데일리尹 파면에 검색량 증가한 대선주자는 누구?
  • IT동아네이버플러스 스토어, AI 쇼핑 앱 판도 바꿀까
  • 이투데이기안ㆍBTS 진ㆍ지예은 뭉쳤다…넷플릭스, 화려한 신작 공개
  • 아이뉴스24"AI가 전자제품 추천·구매 도움"⋯네이버 쇼핑앱 안착
  • 뉴스1저작권법 빈틈노린 챗GPT…美·韓변호사 "부정경쟁방지법 소송가능"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