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1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게시된 부동산 매물 정보 [연합] |
전국 주택의 신규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특히 전세 비중이 월등히 높던 아파트에서도 월세 비중이 45%에 달하는 등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지방 빌라는 80%가 월세…주거비용 부담도 증가=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다.
전세 사기 이후 서울의 월세 비중도 꾸준히 증가세다. 지난 2023년 1~2월 누계 기준으로 58.5%였던 서울의 월세 거래량 비중은 2024년 60.7%를 기록하더니, 올해는 65.2%로 1년 만에 5%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는 2023년 46.2%를 기록했다 2024년 41.6%로 안정됐지만, 올해 다시 43.8%로 늘었다. 연립·다세대 등 ‘빌라’로 대표되는 비아파트의 경우 64.9%에서 76.1%로 11.2%포인트나 급증했다.
지방의 경우 월세화가 더 가파르다. 지방의 이 비중은 지난 2023년 56.4%에서 올해 63.5% 2년여 만에 7.1%포인트 급증했다. 아파트도 같은 기간 43.3%에서 45.4%로 늘었다.
특히 지방의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2023년 72.2%에서 2025년 82.9%로 10.7%포인트 급증했다. 10명 중 8명이 월세를 살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임대·임차인 모두 월세 선호 증가=월세 거래의 비중이 증가하는 데는 전세금의 보증비율을 낮추고, 전세대출의 기준을 강화하는 등 정부의 정책 방향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앞서 정부는 1분기부터 세입자가 전세대출을 못 갚을 때 보증기관이 대신 갚아주는 보증비율을 100%에서 90%로 일괄 축소한데 이어, 하반기에는 소득 등 세입자의 상환 능력에 따라 보증 한도에 차등을 두기로 했다. 보증비율이 낮아지면, 은행에서는 전세대출 심사를 더 깐깐하게 보는 등 기준이 더 강화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 팀장은 “정부가 ‘전세의 월세화’를 유도하는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며 “전세 보증금 대출도 소득을 따지고, 전세금 보증비율도 낮추는 등의 정책이 임대인과 임차인의 월세 선호를 자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대인과 임차인에게도 전세를 월세로 전환토록 유인하는 요소들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임대인의 경우 임차인의 보증금을 통해 운용 수익을 얻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은행의 예금금리가 낮아지는 등 운용수익보단 월세의 수익성이 더욱 좋아졌다는 평가다. 보증금 ‘목돈’보단 다달이 들어오는 월세가 집주인의 현금 흐름에 더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지난해 두 번, 올해 한 번 기준금리가 인하됐다”며 “지방같이 매매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는 경우에는 전세의 월세 전환 이율이 운용수익률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더 빠른 월세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최근에는 전세 사기 등의 위험을 감수하며 전세를 강행하려는 임차인도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윤 팀장은 “최근 젊은 세대는 집주인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임대인에게 목돈을 묶어두는 데 대해 유쾌하게 느끼지를 못하는 거 같다”며 “전세가가 너무 높기도 할뿐더러, 수억 원의 금액을 투자에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홍승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