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1시간 만에 100만"…GPU 녹인 '지브리 스타일'에 챗GPT 역대최대

0
댓글0
'챗GPT-4o 이미지 생성' 업데이트날 국내 DAU 125만 돌파
올트먼 연일 '즐거운비명'…지브리스튜디오 명성 수익활용 지적도
뉴스1

챗GPT 일간 활성화 이용자 수(2024년 8월1일~2025년 3월29일·모바일 인덱스 갈무리)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지브리 스타일'(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스튜디오 지브리 화풍) 열풍 덕에 챗GPT 국내 일일 활성 이용자 수(DAU)가 역대 최고치인 125만 명을 돌파했다.

1일 앱 분석 서비스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 2925명을 기록했다. 28일과 29일 DAU는 각각 121만 2416명과 112만 8546명으로 줄었지만, SNS 등엔 애니메이션 변환 이미지가 쏟아지고 있어 우상향 추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뉴스1

샘 올트먼 오픈AI CEO X 갈무리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반응도 뜨겁다.

샘 올트먼 CEO는 지난 달 31일(현지시간) 자신의 X(옛 트위터)에 "26개월 전 챗GPT를 출시했을 때 5일 만에 100만 명의 이용자가 늘었지만 (방금은) 단 한 시간 만에 100만 명 이용자가 추가됐다"고 말했다.

전날엔 "다들 이미지 생성을 쉬어 달라"며 "이건 미친 짓이다. 우리 팀에 수면이 필요하다"고 적었다.

그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엔 "우리 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무료 이용자 대상 출시는 지연될 예정"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뉴스1

27일 백악관 공식 X 계정에 게재된 챗GPT로 생성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17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마약 밀매, 불법 거주 혐의로 체포된 여성의 모습을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재현한 것이다

올트먼 CEO는 챗GPT-4o 이미지 생성을 업데이트하며 자신의 X(옛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교체했다. 같은 날 미국 백악관도 공식 X 계정에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를 게재했다.

오픈AI는 지브리 스타일 인기 덕에 유료 구독층을 늘릴 기회를 잡게 됐다. 실제로 서버 과부하를 이유로 무료 이용자는 유료 이용자 대비 이미지 생성 결과물을 받기 힘든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오픈AI가 지브리 스튜디오 명성을 이용해 홍보 효과를 누리면서 유료 구독 전환에 나서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뉴스1

샘 올트먼 오픈AI CEO X 프로필 갈무리

법조계에선 작품 스타일 모방은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다만 오픈AI가 AI를 훈련·학습하는 과정에서 지브리 작품을 대가 없이 무단으로 활용했다면 침해 소지가 있다는 시각도 있다.

ideaed@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시스전국민 2명 중 1명 해봤다는 '지브리 프사'…오픈AI, 연매출 20조 꿈 당길까
  • 조선비즈[비즈톡톡] 삼성도 뛰어든 ‘중고폰’ 시장, 1000만 시대 곧 도래... 단말기·고가요금제 결합 유도하는 통신사에는 악영향
  • 연합뉴스[위클리 스마트] 반려견부터 드라마까지…진화하는 네이버 오픈톡
  • 머니투데이尹 파면 속 방통위 지상파 재허가 '시동'…제동 나선 민주당
  • 아이뉴스24"AI가 전자제품 추천·구매 도움"⋯네이버 쇼핑앱 안착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