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비상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상법 개정안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거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1일 “우리 자본 시장이 이렇게 불신과 좌절로 들끓고 있는데도 기어이 거부권을 쓸 것이냐”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글을 올려 “최근 어떤 상장 회사의 3조6천억원 유상증자 발표로 하루 만에 회사 주가가 13% 하락하며 많은 개미 투자자가 큰 손실을 봤다. 같은 날 모회사의 주가도 12% 넘게 하락했다”며 “그런데 오늘 모 그룹 총수께서 주가가 떨어진 모회사의 지분을 자녀에게 증여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고 했다.
이 대표가 언급한 건 한화 그룹의 경영권 승계 과정으로 보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일 국내 자본시장 역사상 최대 규모인 3조6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겠다고 발표했고, 이후 주가가 급락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이날 그룹 지주회사 격인 ㈜한화 지분 절반을 세 아들에게 전격 증여하며 꼼수 승계 논란이 일었다.
이 대표는 “주가는 증여세에 영향을 미치니 낮아진 주가로 증여세를 절감하게 될 가능성이 크고, 위 상장회사가 얼마 전 자녀 소유 회사에 지분 매매 대가로 지급한 돈이 증여세의 재원이 될 거라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며 “우리 자본 시장에서는 드물지 않게 일어나는 일이다. 이러니 ‘자본 시장을 현금 인출기로 여긴다’는 주주들의 비판에도 할 말이 없다”고 지적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