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왕제색도'와 '금강전도'를 한눈에 |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국보 '금강전도'와 '인왕제색도'부터 풀과 벌레를 그린 초충도까지, 조선을 대표하는 화가 겸재 정선(1676∼1759)의 대표작을 한자리에 모은 대규모 전시가 다음달 2일 경기 용인의 호암미술관에서 개막한다.
정선하면 떠오르는 진경산수화부터 관념산수화, 고사인물화(옛 선인들의 이야기를 그린 그림), 화조영모화(꽃과 새, 동물을 그린 그림), 초충도까지 정선의 예술 세계를 종합해 보여주는 자리다.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데만 3년이 걸린 이번 전시는 지금까지 정선을 주제로 열린 전시 중 최대 규모다. 호암미술관과 간송미술관 소장품을 비롯해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18개 기관과 개인 소장품 165점(정선의 영향을 받은 작가들의 작품 11점 포함)을 모았다. 정선의 작품으로는 국보 2점과 보물 6건(57점)이 포함돼 있다.
역대 최대 규모의 '겸재 정선' 전시 |
전시 1부에서는 국보 금강전도와 인왕제색도 등 진경산수화를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상상 속 이상적인 산수를 그리는 관념산수화가 대부분이었던 시기, 정선은 실제 눈앞에 펼쳐진 풍경을 그리면서도 개성적인 화풍을 담은 진경산수화의 대가였다. 그는 특히 평생 여러 차례 금강산을 여행한 뒤 금강산 진경산수화를 여럿 남겼다.
전시에서는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주된 금강산 그림을 볼 수 있다. 초반 금강산 그림이 실경을 세밀하게 묘사했다면 필법을 자유자재로 구사하게 된 완숙기에 접어들면서는 세부는 과감히 생략한 채 자신이 집중하고자 했던 주제를 강조하거나 추상화해 보여주는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겨울의 금강산인 개골산을 그린 금강전도는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보는 부감법으로 금강산의 수많은 봉우리를 담은 정선의 대표적인 금강산 진경산수화다.
금강산과 동해(東海)를 주제로 한 '해악전신첩'은 정선이 진경산수화가로 이름을 알리게 된 계기가 된 화첩이다. 1712년 그린 해악전신첩은 소실됐고 이후 노년기인 1747년 다시 그린 해악전신첩이 이번 전시에 나온다.
풍악내산총람도, 조선, 18세기 중엽[호암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장동(지금의 서울 종로구 청운동과 효자동 일대)에서 나고 자란 정선이 장동의 주변 풍경을 그린 '장동팔경첩', 지금의 서울 강서구 가양동 일대인 양천현의 현령으로 일할 당시 서울과 한강 주변 명소를 진경산수화로 정리한 화첩 '경교명승첩'도 볼 수 있다. 서울 압구정, 수성동 계곡 등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압구정(경교명승첩) , 조선, 1740 - 1741년[호암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정선은 진경산수화의 대가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화목(畵目. 그림의 종목)에도 정통했다. 전시 2부에서는 문인화와 화조화 등 정선이 그린 다양한 주제와 소재의 작품을 소개한다.
역대 최대 규모의 '겸재 정선' 전시 |
중국 고사에 자주 등장하는 장시(江西)성 여산(廬山)의 초당을 그린 '여산초당'은 정선이 가보지 못한 중국의 산을 그렸지만 초당에 앉아 있는 인물은 조선 사대부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여산초당'도 6월1일까지 전시된 뒤 여산 폭포를 그린 '여산폭'(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겸재 정선의 작품들을 한눈에 |
'연강임술첩'은 1742년 당시 경기도관찰사 홍경보가 관내의 연천현감 신유현과 양천현령이었던 정선을 불러내 연강(지금의 임진강)에서 뱃놀이를 즐겼던 것을 두 점의 그림으로 기록하고 시문을 더한 작품이다. 이들은 세 벌의 서화첩을 만들어 나눠 가졌고 이 중 정선의 소장본과 홍경보가 소장했던 작품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서 전시된다.
1천원 지폐 뒷면의 그림인 '계상정거도'도 이번 전시에 나왔다. 계상정거도는 퇴계 이황이 머물렀던 도산서당을 그린 것으로, 서화첩 '퇴우이선생진적첩'에 실려 있다. 퇴계 이황과 우암 송시열의 글씨에 정선의 진경산수화 4면 등을 곁들인 '퇴우이선생진적첩'은 2012년 9월 당시 국내 고미술품 경매 사상 최고가인 34억원에 삼성문화재단이 구입해 소장하고 있다.
보물 계상정거(퇴우이선생진적첩), 조선, 1746년, 종이에 수묵, 25.4 x 40.0 cm[호암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번 전시는 한국을 대표하는 양대 사립미술관으로 정선의 대표작을 다수 소장한 호암미술관과 시기별 주요 작품을 보유한 간송미술관이 함께 연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전시를 기획한 조지윤 리움미술관 소장품연구실장은 "호암미술관과 간송미술관의 협력을 통해 지금껏 볼 수 없었던 대규모 전시가 성사됐다"면서 "마치 장대한 금강산을 한 폭에 담아내듯 정선의 예술 세계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문화재단은 창립 60주년 기념전인 이번 전시에 맞춰 이건희 선대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을 리움 명예관장으로 추대했다. 이번 전시 도록에도 홍라희 명예관장의 이름으로 인사말이 실렸다. 홍 전 관장은 2017년 관장직에서 물러났고 현재 리움미술관은 딸인 이서현 리움 운영위원장이 맡고 있다.
전시는 6월 26일까지 호암미술관에서 진행한 뒤 정선의 탄생 350주년인 내년 하반기 대구간송미술관에서 이어진다. 유료 관람.
보물 여산초당, 조선, 18세기, 비단에 채색 , 125.5 x 68.7 cm[호암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