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지옥문 열릴 가능성 크다”...대재앙 공포에 떠는 일본, 대지진 확률 살펴보니

0
댓글0
‘규모9’ 日대지진 확률 80%
“사망자 30만명·2900조원 피해”
일본 내각부 전문가 검토회 추정
“피난민 1230만명·가옥 235만채 완파”


매일경제

2019년 난카이 트로프 대지진 발생 상황을 가정해 NHK가 제작한 CG 동영상 일부. [NHK 캡처]


향후 30년내 발생 확률이 80% 정도로 예상되는 일본 난카이 해곡 대지진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사망자 29만8000명에 이재민 123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치가 새로 제시됐다.

31일 일본 내각부 전문가 검토회는 이런 내용의 피해 추정치를 발표했다. 규슈 미야자키현 앞 해역인 휴가나다에서 규모 9.0 강진을 유발하는 난카이 해곡 대지진을 가정해 쓰나미 높이와 침수 면적 등을 새로 계산해 추정한 피해 규모다.

난카이 해곡은 수도권 서쪽인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시코쿠 남부, 규슈 동부 해역까지 이어진 바닷속 깊은 골짜기로, 이 지역에서는 100∼150년 간격으로 대형 지진이 일어났다.

내각부 전문가 검토회는 오키나와현에서 후쿠시마현에 걸쳐 넓은 면적에 높이 3m 이상의 쓰나미가 도달하고 고치현 일부 지역에는 최고 약 34m의 쓰나미가 덮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 인해 높이 30㎝ 이상 침수되는 지역만 약 1151㎢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또 29만8000명의 사망자 중 21만5000명은 쓰나미에 의해 희생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역별 사망 추정자 수는 시즈오카현이 10만1000명으로 가장 많고 미야자키현 3만3000명, 미에현 2만9000명으로 제시됐다. 이재민은 123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0%에 해당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 피해 규모는 건물 235만채가 완파되는 것을 비롯해 직접 피해만 최대 225조엔(약 2223조원)에 달하고 경제활동 저하와 인프라 기능 중단 등까지 따지면 292조3000억엔(약 2889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 약 609조엔인 일본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절반에 달하는 수준이다.

지난 1월 일본 정부 지진 조사위원회는 향후 30년 이내에 규모 8∼9의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할 확률을 ‘80% 정도’로 제시한 바 있다.

난카이 트로프란?...가장 최근 발생 시점은 79년전인 1946년
매일경제

일본 서부에 길게 걸쳐 있는 난카이 트로프(해곡).


난카이 트로프는 일본 시코쿠 남쪽 해저에 위치한 수심 4000m 급의 깊은 협곡을 가리킨다. 필리핀해 판이 유라시아판 밑으로 파고들어가는 경계에 자리한 이 협곡은 거대 단층을 품고 있는데, 이 단층의 움직임이 지진을 유발하게 된다.

판의 경계에서 계속 조금씩 변형중인 단층은 어느 순간 한계에 도달하면 단번에 어긋나면서 거대한 지진을 촉발하는데, 이것이 난카이 트로프 대지진이다.

NHK에 따르면 가장 최근에 있었던 난카이 트로프 대지진은 1946년 와카야마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쇼와 난카이 지진’ 으로, 가옥 3만5000채가 붕괴됐고 1443명의 희생자를 낳았다.

난카이 트로프 지진에는 항상 쓰나미로 인한 피해가 수반된다. 그런데 여기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후지산까지 분화하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1707년 호에이 지진 당시 후지산도 분화 하면서 에도(도쿄) 도심부까지 화산재가 날려 피해를 더 증폭 시킨 바 있다.

후지산은 호에이 분화 이후 300년 넘게 분화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5000년 동안 가장 긴 공백기 인 것으로 알려져 일본인들의 불안감을 더 부채질 하고 있다.

日, 사망자 80% 줄이는것 목표로 방재 계획 등 대책 마련 부심
매일경제

2021년 넷플릭스에서 서비스된 일본 TBS 드라마 ‘일본침몰’.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 2014년 난카이 해곡 대지진 방재 대책 기본 계획을 짤 때 피해 추정치를 제시하면서 사망자를 80%가량 줄이는 것을 목표로 10년간 방조제 정비 등을 추진하기로 한 바 있다.

아사히신문은 “이번 추정치는 당시와는 다른 방식에 의한 것”이라며 “당시 조건으로 계산하면 사망자는 26만4000명으로 20%가량 줄어드는 셈”이라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에 새로 나온 추정치를 기초로 방재 기본 계획을 수정할 방침이다. 거의 매년 상정되는 피해규모를 재검토하고 바뀌는 상황을 반영해 우선순위 조정 및 대응책 개정에 나서고 있다.

한편, 아직 현대과학으로 지진을 예측하기는 불가능에 가깝고 발생 확률이 부풀려졌다는 일부 반론도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 및 지진 전문가들은 언젠가 거의 확실하게 난카이 트로프에서 대지진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JTBC"한국은 끝났다"…2300만 유튜버, '섬뜩 경고'한 이유는? [소셜픽]
  • 노컷뉴스[인터뷰] "'강약약강' 트럼프…韓 관세, 깎아서 25%라고?"
  • 매일경제“내 여자가 돼라”…생방송 중 20대 여배우에게 상의 벗고 돌진한 50대 코미디언에 日 발칵
  • 연합뉴스[美관세폭풍] "해방 아닌 분노의 날"…세계각국 벌집 쑤신듯 반발
  • 아이뉴스242천만톤 '희토류' 잭팟 터졌다!⋯중국·브라질 이어 세계 3위된 '이 나라'는?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