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가 31일 서울 서초구 태봉로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제43기 정기 주주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
KT가 오는 2028년 B2B 형태의 인공지능 전환(AX) 사업 매출을 2023년 대비 3배 이상 성장 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력 확대 등을 통해 AX 생태계를 확장하고, 산업별 맞춤형 레퍼런스를 조기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KT는 31일 서울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제4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같은 사업 구상을 공유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이날 의장 인사말을 통해 “KT는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지 1년 만에 혁신과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며 “올해는 B2B AX, AI 기반의 CT, 미디어 사업 혁신을 통해 AICT 기업으로의 완전한 변화를 달성하고 기업가치 향상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우진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장(전무)은 이날 AX 경영 전략 발표를 통해 “KT와 MS는 AX딜리버리 센터를 중심으로 AI 사업을 하고 있다”면서 “그룹 내 AX 전문 인력과 MS가 가지고 있는 기술 사업 전문가, 분야별 글로벌 최고 전문가가 투입돼 300명 규모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KT는 MS와 추진 중인 이 사업의 한국 시장 규모를 올해 6조3000억원로 예상하면서, 10% 이상의 매출 목표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오는 2029년에는 시장 점유율 20%이상을 확보할 방침이다.
정 전무는 “MS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다양한 AI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산업별 생태계 기반의 성장을 하려고 할 예정”이라며 “국내 산업별 대표 레퍼런스를 조기 발굴해 AX 성과를 조기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KT는 올 2분기 내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한국적 AI'와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SPC)를 선보일 예정이다. 현재 이를 알리기 위한 고객 마케팅 행사와 고객 시범 도입 활동을 진행 중이다.
이날 김영섭 대표는 KT그룹 내 구조조정과 자산매각 등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김 대표는 작년 진행한 구조조정은 '합리적'인 절차이며, 부동산 자산 매각 추진은 경영진의 책무 일환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관리를 위해서는 신참·중견·고참 직원들이 조화를 이뤄야 했다”며 “신입사원을 10여년 동안 뽑지 못했는데, 이런 차원에서 생각해 보면 합리적 구조조정은 필요했다”고 강조했다. KT에 따르면 선로관리 인력 5700명 중 50~60%가 정년에 가까운 5060세대로 구성됐다.
호텔·부동산 등 부동산 자각 매각에 대해서는 “KT는 기본적으로 통신과 AICT를 본업인 기업인 만큼 이 분야의 발전을 적극 도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수익이 낮은 유휴부지 부동산 등은 제값을 받고 잘 팔아서 그걸 본업에 쓰는 방안을 준비·고민하는 건 경영진이 해야 할 마땅한 책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이번 주주총회에서 제4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분기배당 기준일 변경 및 회사채 발행 의결 방식 변경을 위한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이사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 상정된 안건을 모두 원안대로 가결했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