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한국산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국내 해당 제품 수출 중소기업의 42%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들의 수출 피해액은 평균 181만 5천 달러(한화 26억 3100여 민원 상당), 매출 피해액은 평균 41억 4천만원으로 예상됐다.
영향을 받는다는 응답기업 중 수출 피해 예상액은 평균 181억 5천만 달러로 조사됏다.
특히 매출이 200억원 이상 되는 기업은 수출 피해 예상액이 평균 328억 2천만 달러(한화 47억 5800여 만원 상당)로 나타났다.
매출액 피해 규모도 기업당 평균 41억 4천만원이었고, 매출 200억원 이상 기업은 매출 피해액이 76억 1천만원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관세 부과에 대응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32.5%에 머물렀다.
관세 부과 사실은 알아도 자사 제품이 관세 부과 대상인지 여부를 알지 못하는 기업도 14.4%였다.
대응을 하고 있다는 기업의 대응 내용으로는 (복수응답) △생산비용 등 자체 비용 절감 노력(52.8%) △미국 거래처와 관세 부담 논의(51.8%) △유관기관 설명회 참여 등 정보탐색(30.8%) 등이 가장 많았다.
미국의 관세부과로 인해 중소기업이 겪고있는 애로사항(복수응답)은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 어려움'으로 응답한 기업이 41.8%로 가장 많았고, △관세 리스크로 인한 물류비 상승(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36.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가장 필요한 관세 지원정책은 '관세 관련 정보제공'이 51.3%로 가장 많았으며, '물류비용 지원 강화'(46.7%), '정책자금 지원'(4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