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오는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한국으로선 큰 타격이 예상된다. 2025.3.2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로 인한 트럼프를 많이 지지한 농촌 지역 저소득층이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트럼프의 25% 자동차 관세로 인해 신차 가격이 올라 중고차 수요가 급증하고 공급이 위축되며 저소득층이 최대 피해를 볼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가 인용한 자동차 리서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에서 3만 달러 미만의 자동차 모델은 16개에 불과했는데 그 중에서도 도요타 코롤라만이 미국에서 조립됐다.
포드 역시 가장 저렴한 차량인 소형 매버릭 트럭과 중형 브롱코 스포츠를 모두 멕시코에서 생산한다. 혼다는 캐나다와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시빅을 생산한다. 소형 HR-V 크로스오버는 멕시코에서 생산되는데 두 모델 모두 평균 가격은 3만달러를 약간 상회한다.
저가형 자동차에 25%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을 인상하거나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는 미국 시장을 완전히 포기할 수밖에 없다. 저가 차량의 마진은 낮고 구매자는 가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높은 관세로 아예 판매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25% 관세로 미국산 차량은 3000달러, 캐나다 및 멕시코산 차량은 6000달러 더 비싸질 것으로 예상된다.
오토포레스트솔루션의 샘 피오라니 부사장은 "전반적으로 신차는 더 비싸질 것"이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구매자들이 중고차 시장으로 유입되어 중고차 가격도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저렴한 중고차의 공급은 이미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딜러들이 확보할 수 있는 1만5000달러 미만의 중고차는 30일 정도로 전체 중고차 공급량보다 12일 적은 수준이다.
피오라니 오토포레스트 솔루션 부사장은 "1만5000~2만5000달러 범위의 중고차 수요가 가장 많을 것"이라며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해당 가격대의 차량 생산을 포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shinkir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