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지난해 국토면적 10만460㎢ …여의도 3배 크기 늘었다[부동산360]

0
댓글0
국토교통부, 2025년 지적 통계 발표
지속적 토지개발사업으로 면적 늘어
헤럴드경제

인천 송도 11-1공구 매립 현장.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국토면적이 전년 대비 1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시 경제자유구역 공구 매립준공, 전남 남악 오룡지구 택지개발 사업 등 토지개발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지적(地籍)통계’(지난해 12월 31일 기준)를 공표했다.

지적통계는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행정구역(시·도, 시·군·구)별, 지목(토지의 종류)별, 소유(개인, 국·공유지 등)별로 필지와 면적을 집계해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로, 1970년 최초작성된 후 1982년 11월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됐다.

지난해 말 기준 약 10만459.9㎢로 전년에 비해 여의도(2.9㎢) 3배 면적이 증가했다.

헤럴드경제

[국토교통부 제공]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면적이 큰 순서는 경북 1만8428.1㎢(18.3%), 강원 1만6830.8㎢(16.8%), 전남 1만2363.1㎢(12.3%)으로 나타났다. 작은 순서로는 세종 465.0㎢(0.5%), 광주 501.0㎢(0.5%), 대전 539.8㎢(0.5%) 순이다.

지난 10년간 주요시설 면적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산림·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 면적은 1630.1㎢ 감소(-2%)한 반면, 생활기반 시설(대, 학교용지) 면적은 507.5㎢(16%), 산업기반 시설(공장용지, 창고용지) 면적은 276.7㎢(28%), 교통기반 시설(도로, 철도, 주차장, 주유소) 면적은 434.9㎢(13%), 휴양·여가 시설(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면적은 254.1㎢(47%) 각각 증가했다. 이는 주거·산업용지와 기반 시설 인프라의 확충이 뚜렷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지난 10년간 면적이 가장 크게 증가한 생활기반 시설 면적의 경우 대지에 건설하는 집합건물 면적은 206.4㎢, 학교용지 면적은 16.1㎢, 단독주택 대지 등 기타 면적은 285㎢로 각각 늘었다. 이는 도시집중현상에 따른 주거방식 변화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토지이용현황(지목 기준)을 분석하면 가장 비율이 높은 지목의 순서는 임야(63.0%), 답(10.8%), 전(7.4%) 순이며, 산림과 농경지(전·답·과수원)는 전체 국토면적의 약 81.3%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0년간 지목별 면적 변동추이를 살펴보면 전, 답, 임야 면적은 각각 3.4%, 5.4%, 1.2% 감소했고, 대지와 도로 면적은 각각 16.8%, 1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 소유자별로는 개인 49.6%, 국유지 25.6%, 법인 7.6%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10년간 국유지, 도·군유지, 법인소유 토지의 면적은 각각 3.6%, 9.1%, 13.2%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법인소유 공장용지와 대지 면적은 각각 176㎢, 112㎢ 늘었다. 이는 지속적인 산업단지 개발로 인한 사업용 토지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임야와 농지 면적의 경우도 각각 186㎢,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농업 경영을 위한 사업용 토지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상철 국토부 공간정보제도과장은 “지적통계는 전 국토의 면적과 이용현황 등의 변화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인 만큼 “토지 관련 정책수립, 학술 연구 등에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 280여 개 기관에 배포하고, 전자파일 형태(PDF)의 전문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OSEN많이 기다렸다, 현대차 '디 올 뉴 넥쏘' 세계 최초 공개 [2025 서울모빌리티쇼]
  • 경향신문올 성장률 1.4%도 어렵다…관세 폭풍에 ‘비관 시나리오’보다 더 나빠진 현실
  • 머니투데이잘나갔던 미국의 '상실감' 탓? 예상 넘은 트럼프 관세, 3가지 이유
  • 헤럴드경제제네시스, G90 기반 엑스 그란 쿠페·컨버터블 콘셉트 최초 공개
  • 연합뉴스[美관세폭풍] 관세율 베트남 46%·태국 36%…동남아 '충격과 공포'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