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영화 '백설공주' 스틸 사진. 뉴스1 |
[파이낸셜뉴스] 라틴계 배우가 주연을 맡은 디즈니의 '백설공주'(Snow White) 실사 영화가 북미에서 개봉 2주차에 박스오피스 1위를 내주며 흥행에 실패했다.
AP통신과 할리우드 매체 버라이어티 등은 30일(현지시간) 컴스코어 자료 등 업계 추산치를 인용해 지난 주말(28∼30일) 북미 극장가에서 '백설공주'가 1420만달러(약 209억원)의 티켓 수입을 기록해 박스오피스 2위로 내려앉았다고 전했다.
'백설공주'의 둘째 주말 수입은 첫 주 대비 66% 급감했다.
'백설공주'는 2억5000만달러(약 3678억원) 이상의 제작비가 투입된 대작으로, 북미 4200개 영화관에서 지난 21일 개봉해 열흘간 6680만달러(약 983억원)의 수입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북미 외 지역을 포함한 전 세계 수입은 1억4310만달러(약 2105억원) 수준이다.
이 영화는 콜롬비아 출신 어머니를 둔 미국 배우 레이철 제글러가 주인공 백설공주 역할을 맡아 개봉 전부터 여러 구설에 오르며 대중의 외면을 받았다.
원작에서 새하얀 피부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 백설공주 역에 제글러의 외모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에 대해 제글러는 "그 역할을 위해 내 피부를 표백하진 않을 것"이라고 응수해 논란을 키웠고,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원작 내용에 대해 "백설공주가 자신을 스토킹하는 남자를 사랑하게 되는 내용이어서 이상하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영화의 흥행 실패가 캐스팅보다 “개연성을 무시한 스토리”에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외모만 집착했던 왕비가 백설공주에 ‘아름다운 내면’을 의식해 백설공주를 제거하려 하는 설정이나, 왕자가 아닌 도적 떼 두목과 이어지는 로맨스와 백성과 함께 권력에 대항하려는 공주 행보 등이 설득력 있게 그려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외신들도 이에 동의했다. 뉴욕 포스트는 “획기적 업적이었던 영원한 고전이 무의미하고 어색한 실사로 변했다”고 비판했다. 인디펜던트도 “최소한의 작업만 하고 귀여운 동물 CG를 때려 넣은 뒤 아무도 눈치채지 않길 바란 영화”라 혹평했고, BBC 또한 “스토리는 어수선하고 난잡하다”고 비판을 보탰다.
미국 언론은 '백설공주'가 제작비를 회수하려면 장기 흥행이 필요하지만, 다음 주 가족 관객을 겨냥한 또 다른 영화 '마인크래프트 무비'가 개봉할 예정이어서 '백설공주'의 1위 탈환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박스오피스 #흥행 #백설공주 #레이철레글러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