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도우 기자 =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회원들이 25일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홈플러스 공동대표와 간담회 추진결과 보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는 비대위가 홈플러스 본사에 요청했으나 본사측과 연락되지 않아 무산됐다. 2025.3.2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도우 기자 |
"홈플러스가 무너지면 지방 소상공인이 많이 어려워질 겁니다."
대형마트 업계에서 홈플러스와 경쟁 중인 한 유통사 관계자의 말이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에 실패하면 자사 매출이 늘어나는 '반사이익'을 예상하냐는 질문에 돌아온 답이었다. 그는 "신속한 경영 정상화가 모두에게 최선"이라고도 했다.
사실 대형마트 업계 2위 홈플러스가 사라지면 경쟁사의 반사이익이 없진 않을 것이다. 최근 한 증권사가 내놓은 기업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업계 1위인 이마트가 운영하는 전국 132개 점포 중 절반이 넘는 70곳이 홈플러스 점포와 상권이 겹친다. 이 때문에 홈플러스 사태가 악화하면 최소 5%의 매출 증가 효과가 있고, 제조사와의 가격 협상력 측면에서도 유리해진다는 분석도 있다. 이마트 주가가 연초 저점보다 40% 이상 뛴 것은 주가 부양책뿐 아니라 이런 결과를 예상한 시장의 판단도 깔려있는 셈이다. 롯데마트도 단기 매출과 영업이익에 긍정적 요인이 될 것이란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홈플러스가 폐업하면 각 점포에 식재료를 납품해온 농가와 도매 업체는 물론 마트 건물 내 입점한 테넌트(임대) 매장 사업자도 타격을 받게 된다. 많은 소상공인이 매출처와 사업장을 잃고 휘청일 수밖에 없다.
홈플러스로 인해 지역 경기 침체가 가속화되면 결국 경쟁사에도 '악재'로 돌아온다. 당장 휴일에 마트에서 식재료를 사고 외식하는 고객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부터 발길을 끊게 된다. 특히 홈플러스에 몸담은 2만여 명의 직원, 회사와 거래 중인 10만여명의 협력사 직원들도 일자리가 없어지는 '풍전등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렇게 잠재 고객층이 줄면 업황 자체가 흔들린다.
홈플러스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사태 해결에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이유다. 부동산 자산 유동화로 채무를 갚는 수준에 그쳐서는 안 된다. 홈플러스의 체질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영업 환경을 만들기 위한 신규 투자도 필요하다. 여기에 이번 위기를 넘으면 온라인 시장 중심으로 재편된 유통 환경에서 생존해야 하는 절실한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홈플러스 직원 협의체가 "앞으로 3개월이 회사의 회생과 신뢰 회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호소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제 정말 기업 정상화를 위한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유엄식 기자 |
유엄식 기자 usyo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