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경제통상장관 회의
3국간 입장차에 실효성 의문
3국간 입장차에 실효성 의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왼쪽),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과 입장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일본·중국 경제통상장관들이 6년 만에 한자리에 모여 유명무실화된 세계무역기구(WTO)를 개혁하고, 그동안 논의가 중단됐던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협상을 가속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 부장과 함께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를 개최했다.
아울러 3국은 예측 가능한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공급망 안정화와 수출 통제 관련 소통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녹색·디지털 경제를 달성하기 위한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도 추진된다.
3국은 한·중·일 FTA 논의 속도도 올려가기로 했다. 한·중·일 FTA는 2012년부터 추진돼 왔지만, 2019년 관계 악화 등으로 관련 협의가 중단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3국 간 FTA 관련 합의는 선언적인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미국이 수년째 중국과의 ‘디커플링(공급망 등 분리)’을 진행해온 상황에서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이 이를 거스르기는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의 관세 조치를 두고 3국 간에 미묘한 입장 차도 드러났다. 왕리핑 중국 상무부 아주사장은 “현재 세계 경제는 일방주의와 보호주의 등으로 압력을 받고 있다”면서 “한·중·일 3국은 일방주의와 보호주의에 반대하며 지역 경제 통합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한국과 일본 측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공개적인 입장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5월 한·일·중 정상회의의 후속 조치를 위한 자리로, 3국 경제통상장관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이후 6년 만에, 서울에서는 10년 만에 개최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