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동맹 대하는 태도 맞나…" 덴마크, 그린란드 찍고 간 미국 부통령에 '발끈'

0
댓글0
28일 덴마크 자치령 그린란드 찾은 美 밴스
"덴마크, 그린란드 안 지키고 뭐했나" 지적에...
라스무센 덴마크 외무 "달갑지 않은 말투"
한국일보

JD 밴스(왼쪽) 미국 부통령이 28일 덴마크 자치령인 그린란드에 있는 미군 기지 '피투피크 우주기지'를 부인 우샤 밴스(왼쪽 두 번째) 등과 함께 방문하고 있다. 피투피크=AP 연합뉴스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외무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JD 밴스 미국 부통령의 무례함을 질타했다. 전날 덴마크 자치령 그린란드를 찾은 밴스 부통령이 덴마크가 방위에 소홀했던 탓에 그린란드가 위험해졌다는 주장을 펴자 불쾌감을 표출한 것이다.

그린란드 찾은 밴스에... 덴마크 외무장관 불쾌감


라스무센 장관은 29일 엑스(X)에 올린 영상을 통해 "비판을 수용할 수는 있겠지만 솔직히 말투가 달가운 건 아니다. 가까운 동맹을 향해 그런 식으로 말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전날 그린란드 최북단 미군 기지 '피투피크 우주기지'를 찾았던 밴스 부통령은 연설에서 "덴마크는 이 기지, 우리 군대, 그리고 그린란드 사람들을 러시아, 중국 등 다른 국가의 매우 공격적인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투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그린란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덴마크가 그린란드 위기를 자초했다'는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밴스 부통령의 그린란드 방문 다음 날 미국 NBC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는 그린란드를 얻을 것이다. 100% 그렇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무력 사용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라스무센 장관은 밴스 부통령이 덴마크에 전가한 '안보 조치 부실 책임론'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1945년까지 미국은 그린란드에서 17개 군 기지를 운영하며 수천 명의 병력을 주둔시켰으나 현재는 기지 한 곳만 남았고 병력도 200명 정도에 불과하다"면서다. 2차 세계대전 중인 1940년 독일이 덴마크를 점령하자 미국은 당시 덴마크 식민지였던 그린란드가 나치 독일의 군사기지로 활용될 것을 우려하며 이듬해부터 그린란드에 주둔하기 시작했는데, 당시에 비해 미군의 존재감이 현저히 줄었음을 지적한 것이다. 다만 그는 "미국이 그린란드 내 군사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밴스 부통령 주장을 존중하며 이를 열린 마음으로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밴스 부통령은 전날 '해군 군함 추가 파견 등을 고려 중'이라고 언급했다.
한국일보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외무부 장관이 24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그린란드·덴마크 반미 감정 고조


그린란드를 향한 미국의 야욕이 갈수록 노골화하며 그린란드와 덴마크 내 대미 여론도 악화하고 있다. 밴스 부통령 방문 당시 수도 누크 주민들은 '미국은 집으로 돌아가라' '우리 땅, 우리의 미래' 등이 적힌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고 AP통신은 보도했다. 덴마크 수도 코펜하겐에 있는 미국 대사관에서도 29일 반미 시위가 소집된 것으로 전해졌다. 밴스 부통령의 당일치기 방문 또한 그린란드 반발로 좌초된 밴스 부통령 부인인 우샤 밴스의 2박3일 방문을 축소해 재추진한 것이다.

덴마크 정부는 이달 11일 총선을 거쳐 27일 구성이 마무리된 그린란드 연립정부와 협력을 강화해 미국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베를린= 신은별 특파원 ebshin@hankookilbo.com
손성원 기자 sohnsw@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SBS내일 밤 한미 2+2 협상…미국 "중국과 협상 잘 돼가"
  • YTN오늘 성베드로 대성당 운구..."유흥식 추기경, 유력 12명 포함"
  • 한국일보[현장] "즉위 후 125번 방문"… 교황 '안식처' 될 대성당은 지금
  • 조선일보30세에 자산 2조… 테일러 스위프트 제친 여성 억만장자, 누구?
  • 아시아경제"집단주의 강한 한국인들"…재택근무 꼴찌에 美 연구진 분석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