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NBC와 인터뷰에서 외국 자동차 제조업체 CEO들에게 소비자 가격 인상을 하지 말라고 경고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결코 그런 말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나는 그들이 가격을 올리는 것을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 오히려 가격을 올리기를 바란다”면서 “왜냐하면 그들이 그렇게 하면 사람들이 미국산 자동차를 살 것이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자동차 가격 상승을 우려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나는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고 세 차례 반복했다. 트럼프 의지와는 달리 JP모건체이스는 자동차 가격이 평균 11%가량 상승, 대당 수천달러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3일부터 수입차 및 경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5월 3일부터는 엔진, 변속기, 전자 시스템 등 핵심 부품으로도 관세가 확대되며, 향후 더 넓은 범위로 확장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미국-캐나다-멕시코 자유무역협정(USMCA) 규정을 준수하는 부품은 초기에는 관세 적용에서 제외된다. 이날 발언을 고려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에서 절대 후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2일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발표할 ‘상호관세’를 연기할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다. 그는 “상호관세를 더 이상 연기할 계획이 없고, 우리에게 큰 가치를 줄 의향이 있는 경우에만 협상을 고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쓰나미가 점차 다가오면서 미국 경제 침체 우려는 커지고 있다. 특히 물가상승을 동반한 경기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게 문제다. 미 상무부 경제분석국에 따르면 3월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PCE가격지수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2.8% 상승했다. 전월(0.3%, 2.6%)보다 물가상승폭이 확대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정책이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이 지출을 더욱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실질 소비자지출은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시장예상치(0.3%)를 밑돈 수치로 거의 4년 만에 가장 적은 증가 폭이다. 미국 경제는 소비가 3분의 2를 차지하는데, 소비가 줄면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물가가 오르면서 소비심리도 급격히 악화하고 있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미국 경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자신감을 반영하는 3월 소비자심리지수(확정치)는 57.0으로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올해 미국이 ‘완만한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을 가능성이 가장 크고 저성장과 물가 상승의 조합으로 인해 향후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가 보류될 것으로 예상했다. BofA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이자 상무이사인 아디티야 바베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동안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했을 때 인플레이션은 연준의 목표치인 2%보다 낮았고 소매업체들이 수입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 전례가 거의 없었다”면서 “지금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것은 과거와 달리 현재 출발점이 그리 좋지 않다는 것 때문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