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대출금리 제자리인데 예금금리 ‘뚝’…예대금리차 6달째 확대

0
댓글0
농협·신한·하나·국민·우리銀 순…3월도 예대차 확대 전망
시중은행 예금금리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지만, 그에 비해 대출금리는 천천히 내리면서 은행들의 이익 기반인 예대금리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은행별로 1.3∼1.47%포인트로 집계됐다. 이는 햇살론 등 정책상품을 제외하고 계산한 결과다.

은행별로 예대금리차는 농협은행(1.47%포인트)이 가장 컸다. 이어 신한(1.40%포인트), 하나(1.40%포인트), 국민(1.33%포인트), 우리(1.30%포인트) 순이었다.

세계일보

서울의 현금자동인출기 모습. 연합뉴스


농협·하나·국민은행은 1월보다 예대금리차가 각각 0.01%포인트, 0.03%포인트, 0.04%포인트 더 커졌다. 신한·우리은행은 0.02%포인트, 0.04%포인트 줄었다.

예대금리차 수준도 이례적이다. 농협은행은 지난해 1월(1.50%포인트)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고 하나은행은 2022년 7월 은행연합회 공시 집계 이후 최대였다.

전체 19개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 중에선 전북은행(8.5%포인트)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제주은행(2.41%포인트), 한국씨티은행(2.36%포인트), 광주은행(2.18%포인트), 토스뱅크(2.16%포인트)도 예대금리차가 2%포인트를 웃돌았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28일 ‘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를 발표하고 지난달 시중·특수은행(수출입은행 제외)의 평균 예대금리차가 전월보다 0.03%포인트 확대돼 1.49%포인트로 벌어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이후 6개월째 상승세다.

통상 기준금리 인하 후 시장금리가 낮아지면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빨리 내리면서 예대금리차가 줄어든다. 하지만 이번 금리 인하기에는 시장금리가 떨어져도 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대출금리를 묶어둔 채 예금금리만 낮추고 있어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추세다.

예대금리차는 3월에도 더 확대됐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과 맞물려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은행들이 수요 억제를 위해 대출금리를 내리지 못한 채 추가로 예금금리만 최대 0.25∼0.30%포인트 하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이날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5대 시중은행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최고 금리(우대금리 포함)는 연 2.80∼3.05%다. 3%대 상품은 고향사랑기부금 납부 고객에게 우대금리를 주는 농협은행의 ‘NH고향사랑기부예금’이 유일하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아시아경제"개발 했다는데 정보가 없다"…반도체 필수 EUV 개발 中 화웨이 '미스터리'
  • 뉴스1상법개정에 "직 걸겠다"던 이복현, 민주당·정부에 "절제의 미학 필요"(종합)
  • 뉴시스[속보]이복현 사의표명 "제 입장 말씀드렸다"…일단 반려돼
  • 더팩트애경산업 매각?…재계 62위 애경, 어쩌다 '위기의 그룹'이 됐나
  • 연합뉴스상법개정에 직 걸었던 이복현 "입장 밝혔지만 F4서 말려"(종합)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