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경험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이용 목적은 정보 검색, 문서 작업, 외국어 번역 등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30일 발표한 '202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한 응답자는 2023년 17.6%에서 2024년 33.3%로 급증했다.
활용 분야는 ▲정보 검색(81.9%) ▲문서 작업 보조(44.4%) ▲외국어 번역(40.0%) ▲창작 및 취미 활동 보조(15.2%) ▲코딩 및 프로그램 개발(6.3%) 순으로 조사됐다.
AI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교통 분야에서 가장 높았다. 자율주행 등 AI 기반 교통 서비스에 대해 '도움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98.3%에 달했다. 향후 활용 기대가 높은 분야는 가사 지원 로봇과 사물인터넷(IoT) 가전 등 주거 편의 영역으로, 필요도는 78.2%, 이용 의향은 58.7%로 나타났다.
디지털 경제 전반에 걸쳐 구독 기반 소비도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 상품 구매 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2023년 13.1%에서 2024년 49.4%로 약 3.8배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10~30대가 증가폭을 주도했으며, 10대는 전년 대비 43.6%포인트, 20대는 40.0%포인트, 30대는 37.0%포인트 상승했다.
해외직구도 빠르게 확산 중이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글로벌 플랫폼의 한국 진출로 인해 해외직구 이용률은 2023년 20.0%에서 2024년 34.3%로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47.2%)가 가장 높았고, 20대(43.5%), 40대(36.8%)가 뒤를 이었다.
전체 가구의 인터넷 접속률은 전년과 동일한 99.97%를 기록했다. 만 3세 이상 국민 중 최근 1개월 내 인터넷을 이용한 비율은 94.5%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하루 한 번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비율은 90.5%였으며, 주당 평균 이용 시간은 20.5시간이었다. 지역별 이용률은 대구가 97.5%로 가장 높았고, 강원이 88.9%로 가장 낮았다.
인터넷 이용자의 97.7%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중 카카오톡 이용률은 98.0%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도 95.4%에 달했고, 가장 인기 있는 플랫폼은 1인 미디어 채널(68.3%)이었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AI 기술은 이제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고 있다"며 "국민이 AI를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 역량 강화와 윤리적 활용 방안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전국 2만5509가구와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22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