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삼일절 급여달라” 홈플러스 임원 사흘치 월급 변제신청…모럴해저드 논란

0
댓글0
밀린 납품대금 등 조기 변제 신청
임원 23명 급여도 4000만원 추가
일각선 “경영진 책임 의식 부족” 지적
헤럴드경제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 = 이정환 기자]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이달 사흘 치(1∼3일) 임원들의 급여 지급 허가를 회생법원에 신청했다. 상거래채권 조기변제 항목에 삼일절 연휴 사흘 치 임원급여를 포함한 것이다. 일각에선 경영진의 책임 의식이 부족한 것이 아니냐며 ‘모럴해저드’라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법조계와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27일 서울회생법원에 1029억원 규모의 상거래채권 조기 변제 허가를 신청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4일 회생 개시 이후 상거래채권은 정상 지급하고 있으나 작년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석 달간 발생한 납품 대금과 정산금 등의 비용은 법원의 조기 변제를 허가받아 순차로 지급 중이다.

홈플러스는 변제 허가를 신청하면서 “해당 금액을 지급하지 않으면 협력업체와 지속적인 거래관계 유지에 불안감과 불신감으로 상거래 활동 유지가 불가능해 조기 변제를 요청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용자금은 현재 1507억원이지만 법원 허가로 1029억원을 집행하면 478억원이 남는다고 했다.

변제 신청내역을 항목별로 보면 ▷ 상품대 518억원 ▷ 청소용역비 등 점포 운영비용 462억원 ▷ 회계감사 수수료 3억원 ▷ 임대거래 종료에 따른 보증금 반환 42억원 ▷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두 곳의 보증금 반환 3억4000만원 ▷ 임원 23명의 이달 1∼3일 급여 4125만원 등이다.

급여 신청 임원과 금액은 조주연 대표와 부사장 2명, 전무와 상무는 100만∼600만원대이고, 사외이사와 기타 비상무이사는 40만원대이다.

회생 개시로 금융 채무 동결과 회생 개시 전에 발생한 상거래채권 지급 지연, 임대료 지급 중단 등의 상황에서 삼일절 연휴 사흘 치 급여의 조기 변제를 신청한 것을 두고 일각에선 경영진의 책임 의식이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임원들이 홈플러스 정상화에 앞장서 비용 감축 등에 솔선수범으로 나서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직고용 인력 2만명의 2월과 3월 월급을 정상 지급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3월 직원들의 월급은 모두 정상 지급했으나 임원 급여에서는 회생 개시 전 1∼3일치를 제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법원이 회생 개시 결정을 하면서 ‘사업계속을 위한 포괄허가 결정’도 함께 발령했는데, 임원 급여도 임금채권에 해당해 직원들과 마찬가지로 바로 지급했어도 되지만 조심하자는 차원에서 선의로 추후 지급해도 되냐고 법원 허락을 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서울경제트럼프의 미국, 韓 급소 때렸다···“관세폭탄 최악땐 美 경제도 직격타” [글로벌 모닝 브리핑]
  • 이투데이[종합] 이복현, 상법 거부권에 사의 표명…4일 이후 거취 결정
  • 세계일보요즘 디카는 카톡도 되네…샤오미 ‘괴물 폰카’ 써봤습니다 [이동수는 이동중]
  • 중앙일보위기의 애경그룹, 핵심 계열사 애경산업 판다
  • 헤럴드경제“1년 새 8억 올랐다” 서초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 최초로 30억 넘겼다 [부동산360]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