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중국 과학계 “달에 ‘초대형 전파 망원경’ 건설하자”

0
댓글0
7200개 안테나를 지름 30㎞에 배열
미국과 우주 관측 경쟁 각축전 가능성
경향신문

미국 항공우주국(NASA) 인공위성이 찍은 달 뒷면. 중국 과학계는 이곳에 전파망원경을 건설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NASA 제공


중국 과학계가 ‘2035년까지 달 뒷면에 초대형 전파 망원경을 건설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안테나 7200개를 지름 30㎞ 원 형태로 배열하는 초대형 토목공사다. 이 프로젝트가 현실화할 경우 미국과 우주 개척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의 위상이 크게 올라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 미국 인터레스팅 엔지니어링 등에 따르면 이달 중순 중국 우주기술연구원과 상하이 천문대 연구진은 달 뒷면에 전파 망원경용 안테나 7200개를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 같은 계획은 국제학술지 ‘중국 우주과학기술’에 실렸다.

연구진은 안테나를 지름 30㎞ 원 형태로 배열할 예정이다. 완공 예상 시점은 2035년이다. 연구진은 “안테나 건설 프로젝트에는 각종 과학기기와 중계용 위성 구축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기를 설치하는 작업에는 로봇도 쓰일 예정이다. 프로젝트 승인 여부는 중국 우주 당국에서 검토한다.

달 뒷면에 대형 전파 망원경을 설치하려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초장파 신호를 잡아내기에 달 뒷면 만한 곳이 없어서다. 초장파는 초기 우주 환경을 알려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데, 지구 표면에서는 감지하기가 어렵다. 대기가 초장파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그런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곳이 지구 반대편에 놓인 달 뒷면이라고 연구진은 본 것이다.

달 뒷면에 전파 망원경용 안테나를 만들려는 아이디어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21년 먼저 내놓았다.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개발 일정이 공개되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달에 전파망원경용 안테나를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두고 미국과 중국 간 경쟁이 펼쳐질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미국의 우주 패권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중국이 전파망원경용 안테나 건설에 먼저 성공할 경우 양국 간 경쟁 구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YTN[자막뉴스] 연구진이 발굴한 '장내미생물'... 골근 감소 잡는다
  • 뉴시스임영웅 콘서트, 작년 놀유니버스 콘서트 티켓 판매 1위
  • 아시아경제[써보니]"몇 초만에 뚝딱" AI 손끝서 지브리 명장면 된 가족사진
  • 헤럴드경제“12조 벌어도 한국엔 100원도 아까워”…돈 못 내겠다 ‘배째라’더니 결국
  • 조선비즈KT, 1인 가구 혜택 강화… “요금 할인, 결합 회선 수 확대”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