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시점 메이저리그에서 통할 수 있는 유일한 한국인 선발 투수로 뽑히는 안우진은 2023년 9월 초 팔꿈치 내측 인대가 파열됐다는 진단을 받았다. KBO리그 최고의 패스트볼 평균 구속을 보유했을 정도로 워낙 강한 공을 던지는 선수인데, 2022년에는 정규시즌(196이닝)과 포스트시즌을 거치며 200이닝 이상을 던지는 등 피로도가 가중됐다. 결국 팔꿈치 인대가 버티지 못하고 끊어졌다.
방법은 수술뿐이었다. 안우진은 진단 이후 팔꿈치 인대재건수술(토미존 서저리)을 받고 전에서 이탈했다. 토미존 수술의 재활 기간은 짧아도 1년, 길면 1년 반 이상이 걸린다. 아직 군 복무를 해결하지 못했던 안우진은 이 시기에 국방의 의무를 하기로 결정했다. 2023년 12월 18일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했다. 소집해제 예정일은 2025년 9월 17일이다.
다만 일반적인 선수와는 조금 다르다. 소속팀이 있는 선수들은 재활에만 전념할 수 있고, 여기에 단계별투구프로그램(ITP)을 졸업하면 실전에도 나설 기회가 있다. 군 복무 중인 안우진은 그럴 여건이 아니다. 당연히 페이스가 느릴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재활 추이는 고무적이다. 벌써부터 강한 공을 던지고 있다. 안우진은 최근 불펜 피칭에서 최고 시속 150㎞대 중반의 빠른 공을 던지며 주위를 놀라게 했다.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최근 피칭에서 최고 구속은 154㎞까지 나왔다”면서 “(패스트볼의) 회전 수는 분당 2400회 수준이다. 한창 좋았을 때보다 200회 정도가 떨어지지만 아직 재활 단계라는 것을 고려하면 괜찮다”고 설명했다. 팔꿈치 수술도 잘 됐고, 재활도 순조롭게 이어진 만큼 모든 단계가 원활하게 끝날 것이라 예상 중이다.
고교 시절부터 특급 재능으로 뽑힌 안우진은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최고 150㎞대 후반의 강력한 패스트볼에 슬라이더라는 메이저리그급 결정구, 여기에 대개 강속구 투수들이 겪는 제구 문제를 극복하면서 리그 최고 투수로 올라섰다. 김광현 양현종 등 리그를 주름잡는 에이스들이 모두 ‘리그 에이스’로 인정할 정도였다. 2022년은 절정이었다. 2022년 정규시즌 30경기에서 196이닝을 던지며 15승8패 평균자책점 2.11, 224탈삼진의 어마어마한 성적을 거두면서 가능성이라는 단어를 찢고 나왔다.
2023년에도 부상 이전까지 24경기에서 평균자책점 2.39를 기록하며 변함없는 위용을 뽐냇다. 팔꿈치 부상이라는 시련이 있기도 했고 당시에는 아픔도 컸지만 돌아보면 이 또한 과정이었다. 어차피 한 번은 수술대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유형의 투수였고, 군 복무는 반드시 해야 했다. 군 복무도 마치고, 수술 재활도 성공적으로 끝나면 더 홀가분하게 야구에만 전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리그의 에이스가 복귀 준비를 마쳐가고 있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