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모습.(사진=뉴시스) |
30일 대학가에 따르면 고려대 의대에서는 지난 29일 1학기 복학 신청을 마감한 결과 군 휴학 등 ‘불가피한 사유’를 제외한 모든 복학 대상자가 복귀 의사를 나타냈다. 학교 측은 의대생들이 등록 후 수업 거부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수업 거부나 수업 방해 등 학습권 침해와 학사 방해 행위에 대해 엄중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대 의대에서도 등록 대상자 전원이 지난 27일 등록을 완료, 제적생이 단 한 명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연세대 의대에서도 1명을 제외한 모든 의대생이 수업 참여 의사를 약속하고 복학 신청을 완료했다. 최재영 연세대 의대 학장은 이날 교수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은 유급 처리할 것”이라며 “수업 방해 행위가 발견될 경우에도 즉각 징계위원회를 열겠다”고 했다.
울산대 의대생들도 전원 복학 의사를 밝혔다. 당초 울산대는 지난 26일까지 복학 신청을 하지 않은 의대생들에게 29일부터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하기로 했지만, 의대생 전원이 복학을 신청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를 보류했다. 가톨릭대 의대생들 역시 일단 등록한 뒤 투쟁을 이어가기로 했다.
학생들의 복귀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40개 의대 운영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은 28일 간담회를 가진 뒤 “총장들은 지속적으로 학생들이 돌아와 정상 수업을 할 경우 지난 의총협에서 결의한 바와 같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며 “아울러 3월 이후 각 대학에서 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도록 의과대학과 긴밀하게 협력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문제는 의대생들이 등록 이후 수업 거부 투쟁에 나서느냐 여부다. 학생들이 집단으로 수업 거부에 동참하면 의대 교육 정상화는 불가능하다. 각 대학이 수업 거부·방해 행위에 대해 엄정 대처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7일 ‘입대·임신·질병 등 불가피한 휴학’을 제외한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을 경우 ‘2000명 증원’ 계획이 유지된다는 입장이다.
불가피한 휴학을 제외한 의대생 전원 복귀 여부는 ‘수업 정상화’에 방점을 두고 판단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원 복귀 기준을 설정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며 “의대 수업이 가능한 수준인지는 31일까지의 복귀 현황을 지켜본 뒤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