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 표시된 사용자 13만5000명 달해
통신비밀 보호 관점 재발 방지 지시
라인과 야후재팬 로고. AP뉴시스 |
일본 정부가 자국 최대 메신저 앱 ‘라인’을 운영하는 라인야후에 행정지도를 내렸다고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일본 총무성은 이날 성명에서 “지난해 11월 라인의 사진 공유 앨범 섬네일 이미지에 다른 사용자 사진이 표출된 것과 관련해 라인야후 측에 통신비밀 보호 관점에서 재발 방지를 철저하게 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총무성은 개발자의 이해 부족이나 서비스 시작 전 불충분한 검사가 원인이었다고 결론지으면서 라인야후에 행정지도로 검사 강화와 앱 작동 확인을 철저히 할 것, 전사적인 개발 가이드라인 재검토 등을 요구했다. 기한은 제시하지 않았지만, 진척 상황을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라인야후는 “행정지도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재발·피해 확대 방지책을 철저히 하고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는 성명을 냈다.
앞서 총무성은 2023년 11월 이후 라인 사용자 정보 유출이 잇따른 것과 관련해 지난해 3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행정지도했다. 당시 행정지도에서 네이버와의 자본관계 재검토를 명령해 일본 정부가 네이버로부터 강제로 라인을 빼앗으려는 것 아니냐는 반발이 강하게 일었다.
현재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50%씩 출자한 합작사 A홀딩스가 라인야후 지분 약 64.5%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이투데이/배준호 기자 ( baejh94@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