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日 정부, 또 라인야후에 행정지도… “사진 노출 오류 개선해라”

0
댓글0
조선비즈

라인야후 계열 한국법인 라인플러스 본사에서 직원이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또 라인 애플리케이션(앱) 운영사 라인야후에 행정지도를 내렸다. 이번엔 작년 불거진 사진 노출 오류를 문제 삼았다.

요미우리신문 등은 일본 총무성이 전날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사장에게 전기통신사업법이 규정한 ‘통신의 비밀’과 관련해 철저한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행정지도 문서를 전날 전달했다고 29일 보도했다.

작년 11월 라인에서는 사진을 보존하는 ‘앨범’ 기능과 관련해 다른 이용자의 사진이 표시되는 사고가 났다. 약 13만5000명이 이런 오류를 경험한 것으로 추정됐다. 사진 처리 시스템을 갱신하는 프로그램에 문제가 나타나면서 벌어진 오류인 것으로 전해졌다.

라인야후 측은 “행정지도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재발·피해 확대 방지책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 했다.

라인은 일본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메신저 앱이다. 일본 내 라인 이용자는 지난해 9월 기준으로 9700만 명으로 집계됐다.

앞서 일본 정부는 작년 3월과 4월에 걸쳐 라인야후에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문제 삼아 ‘네이버와 라인야후의 지분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내용이 포함된 행정지도를 내린 바 있다. 라인은 네이버가 지난 2011년 6월 일본에 출시한 메신저 앱이다.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가 나온 뒤 국내에선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네이버는 2019년 일본 포털 야후재팬을 운영하는 소프트뱅크와 협의해 라인과 야후재팬의 합병을 결정했고 2021년 A홀딩스를 세웠다. 메신저 서비스인 ‘라인’과 검색 서비스인 ‘야후재팬’을 운영하는 라인야후의 최대 주주는 지분 64.4%를 보유한 A홀딩스다. A홀딩스의 지분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씩 보유하고 있다.

정두용 기자(jdy2230@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이데일리“분실폰 위치추적 손쉽게” 애플, ‘나의 찾기’ 15년만에 韓 지원
  • 파이낸셜뉴스"나도 지브리 프사 만들었다"… 챗GPT 이미지 생성 뜨거운 반응
  • 뉴스1"1시간 만에 100만"…GPU 녹인 '지브리 스타일'에 챗GPT 역대최대
  • 디지털투데이초경량 전기 자전거 '에이돌론'…무게 9.9kg
  • 뉴시스美 안보 책임자들이 몰래 썼던 민간 채팅 앱?…텔레그램이랑 뭐가 다르길래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