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서울시 10년간 싱크홀 216건…특별시 중 최다 이유는

0
댓글0
과거 한강 매립으로 지반 연약한 지역 다수
잦은 지하 공사·상하수관 노후화·많은 교통량도 원인
전문가 "충분한 재정 투입·예방 역량 높여야"
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강류나 = 30대 오토바이 운전자 목숨을 앗아간 강동구 대형 싱크홀(땅 꺼짐 현상) 사고 이후 서울 도심 한복판 곳곳이 싱크홀 지뢰밭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과거 한강의 범람원 위에 형성돼 지반이 비교적 약한 서울 시내에 과도한 지하 개발이 이뤄지고, 상하수도관은 노후화되면서 더욱 싱크홀에 취약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전국에서 싱크홀 발생건수는 2085건이었다. 특별광역시별로 보면 서울이 216건, 광주 182건, 부산 157건, 대전 130건, 인천 66, 울산 37건 등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서울이 타광역시에 비해 싱크홀 발생 건수가 많은 배경으로 ▲과거 한강을 매립한 지반 다수 ▲상·하수관 노후화 ▲잦은 지하화 공사 ▲많은 교통량 등을 꼽았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명예교수는 "송파구, 강동구, 마포구, 여의도 등 다수 서울 지역이 한강 매립지로 옛날에 전부 강물이 들어가던 곳"이라며 "한강은 주로 모래 바닥이었기 때문에 흙처럼 단단하지 않아 지하수에 의해 잘 흘러가고, 땅 속에 구멍이 생기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원철 교수는 "서울이 지하철, 터널, 상하수도, 가스관, 냉난방관 등 공사가 많고 최근에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및 커뮤니티 센터, 지하 쇼핑센터 등 지하 공간 개발이 가장 많다는 것도 싱크홀 발생 빈도가 높은 이유"라고 덧붙였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김혜진 기자 = 28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사고 현장 인근에 국화꽃이 놓여 있다. 정부가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땅꺼짐(싱크홀) 사고에 대해 사고조사에 들어간다. 국토부는 지난 24일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지반침하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를 구성·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2025.03.28. jini@newsis.com



즉, 과거 한강변 저지대 및 농경지 중심이었던 서울 일대가 모래와 자갈로 구성돼 지반이 연약한 반면 지하 공사로 땅을 깊게 파거나, 하수관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싱크홀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같은 기간 서울에 발생한 싱크홀 216건의 각각 발생 원인을 집계한 결과 굴착공사 부실이 83건으로 3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하수관 손상 71건(33%), 다짐(되메우기) 불량 28건(13%), 상수관 손상 25건(12%) 등 순이었다.

지난 24일 30대 오토바이 운전자 사망으로 이어진 서울 강동구 명일동 사거리 대형 싱크홀 사고 역시 발생 지점 아래에서 '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 사업 1공구' 터널 굴착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사고 원인은 지하철 9호선 연장 굴착 공사와 상수관로 파열이 거론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는 전날 조사위원회를 꾸리고 본격적인 원인 조사에 들어갔다.

지난 2019년 12월22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파크원 지하공공보도 건설공사 중 도로 지반침하로 작업중이던 근로자 1명이 추락, 매몰돼 숨졌을 때도 사고 원인은 상수관로가 파손됨에 따른 누수로 토사유실 및 도로지반 침하 발생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 이후 올해 초 싱크홀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지반침하 예방 종합 개선대책'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전국 최초로 '지반침하 관측망'을 시범운영하고 지하안전관리 업무를 보강하고자 '도로혁신 TF'를 신설해 가동하기로 했다.

그러나 대책을 발표한 지 불과 3개월 만에 강동구에서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예방 대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시는 강동구 싱크홀 사고 이후 사고 우려가 높은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강화해 실시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도시철도 건설공사구간 42㎞와 주변 보·차도 20㎞에 대해 전면 조사를 실시하고, 추후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장 300여 개소의 주변도로에 대해서도 GPR탐사를 강화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 회장은 "서울엔 노후화된 상하수도관도 많아 교체를 자주 해야 하는데, 시간이 상당 소요되는 데다가 현재 교체 기간에 대한 규정이 따로 없는 게 문제"라며 "서울시가 민원을 접수 받고 복구작업을 했는데도 싱크홀 사고가 났다면 작업 시 정확한 원인 파악이 안 됐다는 것이다. 전문가 역량을 높이고 검사 기술을 고도화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올 여름 장마철과 폭염을 앞두고 싱크홀 사고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조원철 교수는 "장마, 홍수로 땅 속에 물이 많이 들어가면서 구멍이 생기고, 폭염이 지속돼 지하수가 증발해버리면 구멍이 발생해 싱크홀의 원인이 된다"라며 "정부와 지자체에서 상하수관 교체 비용이 막대하더라도 보다 적극적으로 재정을 투자해야 싱크홀을 예방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schoi@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연합뉴스전국 의대생 복귀율 96.9%…'미복귀' 인제대는 370명 제적 예정
  • 한겨레장제원 사망에 예일의대 교수가 ‘박원순 사건’ 때 글 공유한 까닭
  • 노컷뉴스尹 '정치적 운명' 금요일에 갈린다…결과 예측 힌트는[박지환의 뉴스톡]
  • MBC변론 종결하고도 38일‥ 왜 이렇게 늦었나
  • 서울신문故장제원 아들 노엘 “한참 생각하다가 쓴다” 심경 고백…빈소 조문 2일부터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