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미국 빅테크, 휴머노이드 로봇에 베팅…한발 앞선 중국

0
댓글0
[AI리포터]
디지털투데이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중국이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고 28일(현지시간) 경제매체 CNBC이 알렸다.

테슬라, 엔비디아 등은 로봇이 미래 경제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지만, 중국 기업들이 가격과 생산력에서 앞서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항저우 기반 유니트리 로보틱스는 최근 자사 로봇을 JD닷컴에서 판매했고, 상하이 스타트업 아기봇도 올해 5000대 생산 목표를 세우며 테슬라와 경쟁 중이다. 중국 전기차 기업들이 테슬라를 압도한 것처럼, 로봇 시장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예상된다. 반도체 및 AI 전문기업 세미애널리시스는 "중국이 전기차 산업에서 보여준 파괴력을 로봇 시장에서도 재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는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 비용이 최소 1만달러에서 최대 30만달러 수준이라고 추정했지만, 중국 기업들은 대량 생산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미국을 압박하고 있다. 유니트리는 1만6000달러짜리 로봇을 출시했으며, 테슬라가 가격을 낮추려면 중국산 부품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중국은 관련 특허도 미국을 앞서고 있다.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중국은 '휴머노이드' 관련 특허를 5688건 출원한 반면, 미국은 1483건에 그쳤다. 샤오미, BYD, 체리, 샤오펑 등 중국 기업들도 로봇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중국 정부 역시 2025년까지 대규모 생산을 목표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로봇 부품 공급망의 70%를 장악하고 있다.

한편,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애널리스트들은 2030년까지 연간 100만대, 2060년까지 30억대의 로봇이 운영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ITWorldiOS 18.4 주요 기능 정리 : 작은 변화로 달라지는 아이폰 경험
  • 서울경제아마존도 참전···'AI 비서' 경쟁 가열
  • 한국일보트럼프,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 공식화... 삼성·하이닉스 어쩌나
  • 이투데이[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IT동아법인 가상자산 시장 참여 대비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