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미얀마서 규모 7.7 강진 … 1000㎞ 떨어진 태국 방콕까지 덮쳤다

0
댓글0
매일경제

붕괴된 방콕 고층빌딩28일(현지시간)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규모 7.7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진앙에서 1000㎞ 이상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도 강력한 진동이 느껴지면서 건설 중인 고층 빌딩이 붕괴됐다. 사진은 구조대가 붕괴 현장에서 구조 작업을 펼치고 있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28일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미얀마뿐만 아니라 진앙에서 1000㎞ 이상 떨어진 태국 방콕, 중국 윈난성, 베트남에까지 미쳤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 중 최근 100여년 만에 가장 강력한 지진이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28일 낮 12시 50분께(현지시간) 인구 120만명의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서쪽으로 248㎞ 떨어진 지점을 진앙으로 규모 7.7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진원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10여 분 뒤 규모 6.4의 여진이 뒤따랐다.

네피도 등 미얀마 현지에서는 고속도로가 휘고 다리, 건물, 유적 등이 무너지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양곤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CNN에 "1분 정도 지진이 느껴져 건물 밖으로 뛰쳐나왔다"며 "매우 갑작스럽고 강한 진동을 느꼈다"고 전했다.

대지진이 직격한 미얀마 진앙 근처의 피해와 혼란상은 단편적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사상자 전체 규모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날 한국시간 10시 30분 기준 만달레이 종합병원에서만 사망자 최소 20명, 부상자가 최소 300명으로 집계됐다. 병원의 한 의료진은 "부상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치료할 의사와 간호사가 충분하지 않고 의료용 솜도 거의 다 떨어져 가고 있다"고 말해 사상자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현지 언론은 수도원이 무너져 어린이 5명 등 최소 6명이 숨졌다고 보도했고, 호텔이 무너져 2명이 숨지고 20명이 매몰됐다고 전했다.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네피도의 1000병상 규모 종합병원 응급실 밖에는 부상자들이 줄을 서서 대기하는 모습이 전해졌다.

매일경제

28일 미얀마 강진 여파로 인해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인 고층 건물이 무너지면서 인부들이 울부짖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날 미얀마 군사정권은 6곳의 강진 피해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한 동시에 국제사회에 인도주의 지원을 요청했다. 미얀마는 진앙 지역인 데다 수년째 진행되고 있는 내전으로 치안, 의료 등 사회시스템이 매우 취약해진 상태여서 특히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방콕에서도 건물이 무너지는 등 아비규환이었다. 방콕 명소 짜뚜짝 시장 근처에 건설 중이던 30층짜리 고층 건물이 삽시간에 붕괴되면서 건설 현장에 있던 근로자 최소 90명이 실종됐다. 구조대가 구조에 나섰지만 최소 3명은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건물이 무너지면서 먼지구름이 생기고 행인들이 비명을 지르는 모습을 담은 영상이 소셜미디어에 올라오기도 했다. 지진 발생 장소에서 가까운 아바시와 사가잉시를 잇는 '올드 사가잉 브리지'가 무너지는 모습이 담긴 영상도 퍼졌다.

놀란 방콕 시민들은 거리로 뛰쳐나왔다. 한 시민은 겁에 질린 채 "집에서 자고 있을 때 (지진) 소리를 듣고 잠옷 차림으로 건물 밖으로 최대한 멀리 달아났다"면서 울먹였다. 또 다른 시민은 "사람들이 공포에 질려 거리로 뛰쳐나왔고, 수영장에서는 물이 넘쳐흘렀다"고 증언했다.

지진 직후 일부 지하철과 경전철 운행이 중단됐으며 태국 증권거래소는 모든 거래를 중단했다. 피해가 잇따르자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이날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날 지진은 미얀마와 국경을 접한 중국 남서부 윈난성에까지 여파가 미쳤다. 중국신문망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윈난성에서 최소 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윈난성 당국은 "지진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긴급회의를 개최해 재난 상황을 신속히 보고했다"고 밝혔다.

베트남 북부 하노이와 남부 호찌민시에까지 지진 영향이 감지됐다. 하노이에서는 수백 명이 고층 빌딩에서 대피했고, 호찌민에서는 벽 균열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USGS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000명을 넘을 확률이 77%에 달한다고 추정하면서, 광범위한 재난 피해로 인해 국제적인 구호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경제적 피해는 미얀마의 경우 국내총생산(GDP)의 최대 20~30%에 이를 수 있다고 추정했다.

미얀마는 1930~1956년 사이에 규모 7.0 이상 강진이 6번이나 발생하는 등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나라다.

특히 피해 지역은 비보강 벽돌 구조물이나 목재로 지어진 비공식 건물 등 지진에 취약한 구조물이 많아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USGS는 지진으로 인해 토양 액상화가 상당한 범위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아 추가 붕괴 피해 등이 뒤따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중앙일보아내∙딸 구하려고…지진에 무너지는 52층 빌딩 다리 건넌 한국인
  • 파이낸셜뉴스"파면, 복귀 등 한국 분열 심화"...외신들 탄핵심판에 주목
  • 연합뉴스방콕지진서 무너지는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가족 구하려"
  • 한겨레막나가는 이스라엘군…유엔·구호대원 15명 죽여 집단 매장
  • 서울신문(영상) 中 샤오미 전기차도 ‘문 잠겼다’…충돌로 화재 발생, 탑승자 3명 사망 [포착]

쇼핑 핫아이템

AD